@사례 ~~20세 남성 A씨, 재수후 대학입학, 두통.불면, 매사짜증, 집중력 저하, 의원 이상소견 없음 / MMPI D 75점, BDI 23점, 동작성IQ 94(언어성125) 전체IQ 114
@~~ 사례에서 정신장애 및 감별진단을 요하는 정신장애 유형 제시하고, 각각의 임상적 양상을 기술
A. 정신장애 유형
~~ 주요우울장애
① 사례에서..우울감,두근거림,짜증,불면,집중력 감소 등은 주요우울증 삽화의 증상에 해당됨
② Mmpi의 D척도 점수가 높은점, K-WAIS에서 동작성 지능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점, BDI 우울증 테스트에서 23점의 ‘중한 우울상태’를 보인점 등으로 A씨의 우울한 기분상태를 짐작할 수
B. 감별진단 요하는 정신장애 및 각각의 임상적 양상
~~ “감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은 한 가지 질환 또는 장애(disorder)의 가능성과, 환자의 질환이나 증상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질환 또는 장애의 가능성을 비교하는 과정
~~{{적범신 =신체증상+범불안+적응장애
① 주요우울 장애 ~~5가지2주 , 우울 OR 흥미.즐거움 상실 포함되어야
i. 우울한 기분 ~하루중 대부분 거의 매일, 주관적 보고, 객관적 관찰되는..
ii. 흥미와 즐거움 뚜렷한 저하 ~거의 모든 일상활동
iii. 체중 변화, 식욕 감퇴OR 증가
iv.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OR 과다수면 / 정신운동성 초초OR 지연 /피로, 활력의 상실 /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 집중력 감소, 우유부단 /반복되는 죽음생각, 자살계획
② 신체화 장애
i. 하나 이상의 신체 증상으로 고통호소, 일상에 중대한 지장을 일으킴
ii. 증상의 심각성에 대한 편중,지속되는 생각.. 과도한 불안,염려 /6개월 상태지속
iii. A씨.. 내과적 소견 없지만.. 신체증상장애가 우울장애와 연관되어서 두통, 복통, 피로감 등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③ 범불안 장애
i. 과도한 불안.긴장의 지속적(6개월이상) 경험 상태.. 불안대상은 분명하지 않다..
ii. 만성적 불안으로 긴장, 피로감, 집중저하, 수면장애 등의 특징적 증상..
iii. A씨.. 만성적 기분장애를 보이지만 과도한 정도는 명확하지 않다
더) BDI 해석
0~9점 우울하지 않은 상태
10~15점 가벼운 우울 상태
16~23점 중한 우울 상태
24~63점 심한 우울 상태
더) DSM5 기준.. 주요우울장애의 주요 감별진단
조증삽화vs 혼재성삽화(과민기분 동반한) / 기분장애(의학적 상태에서 유발된) / 우울vs 양극성 장애(물질.약물로 유도된) /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 적응장애(우울기분 동반한) / 슬픔(Sadness)
'◆ 성격·심리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웩슬러 지능검사 (0) | 2024.04.05 |
---|---|
[4*] 심리평가 보고서 (0) | 2024.04.05 |
[4*] 단회상담 원리 (0) | 2024.04.05 |
[4*] 상담목표 설정기준 (0) | 2024.04.05 |
[7*] MMPI 쌍척도 (0) | 2024.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