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격
財 재물재 재성은 정재,편재를 가리지 않고 재격으로 통하며, 사회활동의 기반(조정능력,효율중시)이 되는 좋은기운(吉)이어서 바르게 사용(順用)한다. 재성은 내가 제어하여 사용하는 대상(재물,재능)이다. 또한 정관을 살려주니(生) 바르고 어여쁘다. ◆ 재격 성립 월지(月支)가 재성(財星)이거나, 월령(月令)에서 재성이 투출(透出)하여 용신(用神)이 되면 재격(財格)이다. 〈식상,재성,관성〉기운을 사용할 때에는 나(日干)를 받치는 기운(根)을 갖추는 것이 우선이다. 재성이 식신, 상관과 어떻게 연결(生助) 되었나가 재격의 쓰임을 찾는데 중요하다. ◆ 자평진전 원문해석 ; 재격 자평진전(子平眞詮)의 용신론(論用神)에 있는 재격 관련 내용입니다. 財生官旺, 或財逢食生而身强帶比. 재생관왕, 혹재봉식생이신강대비. ..
2023. 5. 8.
상관격
傷 다칠상 , 官 벼슬관 상관은 정관(正官;벼슬,명예)을 해치는 특성(형식타파,승부욕)의 강한기운(凶) 이기 때문에 순화하여 사용(逆用)한다. 상관격은 운의 변화가 복잡하여 다루기 힘들지만, 빼어난 기운(秀氣;천재성,개성표출)이다. ◆ 상관격 성립 월지(月支)가 상관(傷官)이거나, 월령(月令)에서 상관이 투출(透出)하여 용신(用神)이 되면 상관격(傷官格)이다. 나(日干)를 받치는 기운(根)을 먼저 갖추고 인성(印星;자기완결,질서순응)의 동태를 살펴 상관의 바른 쓰임을 찾아야 한다. ◆ 자평진전 원문해석 ; 상관격 자평진전(子平眞詮)의 용신론(論用神)에 있는 상관격 관련 내용입니다. 傷官雖非吉神, 實爲秀氣, 故文人學士多於傷官格內得之. 상관수비길신, 실위수기, 고문인학사다어상관격내득지. 而夏木見水, 冬金見火..
2023. 5. 7.
식신격
食 먹을식, 神 귀신신 식신의 특성은 먹을복(= 후원받음, 의식주 평안함)과 낙천성(= 활동성, 재미추구, 소심함)이다. 식신격은 재성(財,재물)을 키우는(生) 좋은기운(吉神)이어서 바르게 사용(順用)한다. ◆ 식신격 성립 월지(月支)가 식신(食神)이거나, 월령(月令, 월지 지장간) 중 식신이 투출(透出, 천간에 같은 글자가 있음)하여 용신(用神)이 되면 식신격(食神格)이다. 식신은 나(身;일간)의 기운을 발산(洩氣)하는 수단이므로 먼저 〈나〉를 튼튼하게 하는 기운(根;비겁인)이 갖추고 재성(財;재물)과 관성(官;명예)으로 식신격의 쓰임 방향과 환경(相神;상신)을 살핀다. ◆ 자평진전 원문해석 ; 식신 자평진전(子平眞詮)의 용신론(論用神)에 있는 식신격 관련 내용입니다. 食神本屬洩氣, 以其能生正財, 所以..
2023.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