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 먹을식, 神 귀신신
식신의 특성은 먹을복(= 후원받음, 의식주 평안함)과
낙천성(= 활동성, 재미추구, 소심함)이다.
식신격은 재성(財,재물)을 키우는(生)
좋은기운(吉神)이어서 바르게 사용(順用)한다.
◆ 식신격 성립
월지(月支)가 식신(食神)이거나,
월령(月令, 월지 지장간) 중 식신이
투출(透出, 천간에 같은 글자가 있음)하여
용신(用神)이 되면 식신격(食神格)이다.
식신은 나(身;일간)의 기운을 발산(洩氣)하는 수단이므로
먼저 〈나〉를 튼튼하게 하는 기운(根;비겁인)이 갖추고
재성(財;재물)과 관성(官;명예)으로
식신격의 쓰임 방향과 환경(相神;상신)을 살핀다.
◆ 자평진전 원문해석 ; 식신
자평진전(子平眞詮)의 용신론(論用神)에
있는 식신격 관련 내용입니다.
食神本屬洩氣, 以其能生正財, 所以喜之.
식신본속설기, 이기능생정재, 소이희지.
故食神生財, 美格也. 財要有根, 不必偏正疊出,
고식신생재, 미격야. 재요유근, 부필편정첩출,
如身强食旺而財透, 大貴之格.
여신강식왕이재투, 대귀지격.
식신은 나(일간)의 힘을 빼놓는 기운이지만, 정재(正財)를 生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그래서 식신으로 재성을 살리면, 좋은 格이다.
이때 재성은 뿌리가 있어야 좋고, 편재와 정재가 겹치면 오히려 귀함이 적어진다.
나(일간)의 뿌리가 강하고 식신도 월지에 뿌리를 두면서
천간에서 재성을 본다면, 대단히 귀하다.
食神生財, 或食帶殺而無財,
식신생재, 혹식대살이무재,
棄食就殺而透印, 食格成也.
기식취살이투인, 식격성야.
식신이 재성을 生하거나, 혹은 식신이 재성없이 편관을 순화시킬때,
천간에 식신의 기능이 없고 편관을 사용할때
인성이 있다면, 좋은 식신격이다(上格)
食神逢梟, 或生財露殺, 食神格敗也.
식신봉효, 혹생재로살, 식신격패야.
식신이 편인을 만나거나, 혹은 재성을 生하는데 편관이 나타나면,
좋지못한 식신격이다(下格)
◆ 식신격 성패
用神 | 上格 | 下格 |
관官 | 財 | 殺, 官 |
재財 | 官 | 殺, 比劫 |
인印 | 殺, 官 | 財 |
식食 | 財, 殺 | 官, 印 |
상傷 | 財, 殺 | 官 |
살殺 | 食傷, 劫 | 財 |
◇ 成格
食神生財식신생재 = 신왕한 일간 + 강한 식신 + 재성 투출
食神制殺식신재살 = 강한 일간 + 강한 편관(식신으로 순화)
食神帶印식신대인 = 태과 식신 + 약한 일간(인성으로 강화)
◇ 破格
약한 식신, 비겁 태과 + 재성 → 식신생재 곤란
약한 식신 + 강한 편관 → 식신재살 곤란
약한 식신 + 강한 인성 → 식신격 역활 곤란
약한 일간 + 식신생재 + 편관 → 살작용 증대
◆ 식신격 취운법
◇食神生財 식신생재 (식신격이 재성을 도우는 사주)
식신이 약하면 재성과 식신 운이 좋다.
식신과 재성이 강하면 비겁인 운이 좋다. 관살 운은 나쁘다.
◇食用殺印 식용살인 (식신격이 살과 인을 쓰는 사주)
인성을 강하게 하는 운이 좋다.
재성이 강해지는 운은 나쁘다.
일간이 강하다면 식상, 관살 운도 좋다.
◇食神帶殺 식신대살 (식신격에 편관이 있는 사주)
인성 운이 좋다.
일간이 강하면 식상 운은 좋고, 재성 운은 나쁘다.
식신이 강하고 편관이 약하다면 인성 운이 좋고, 재성 운도 나쁘지않다.
◇食神太王而帶印 식신태왕이대인 (식신이 아주 강하고 인성이 있는 사주)
재성 운이 매우매우 좋다.
식신, 상관 운도 좋다.
인성 운은 매우 나쁘다.
관성 운은 나쁘다.
◇食神帶印 透財以解 식신대인 투재이해 (식신격에 인성이 있고 재성이 천간에 두개 이상 있는 사주)
비겁 운은 불리하고 식상 운은 좋다.
인성 운은 꺼려지고, 편관 운은 좋다.
◆ 식신격 심리적 특징
규범에 메이지 않는 자유 의지로서 낭만과 재미를 추구한다.
〔순수함〕 세상 물정에 개의치 않는 순진, 순수성을 가진 사람이다. 자칫 수세적 상황에서 욱하거나, 짜증내는 태도로 이어진다면 미성숙함으로 비칠 수 있으니 살펴야 함. 〔낙천성〕 심성이 후덕하며 베풀기를 좋아하고 풍류적 기질을 발휘한다. 〔전문성〕 총명하고 박학博學하여 이름을 높일 것임,
내적 동기나 이상에 따른 개인적 성취를 목표한다. 동료에게 호의와 격려로 업무를 촉진시키며, 조직 전체적으로 긴장을 완화시키는 능력이 있다. 자신의 가치를 상실시킬 만큼의 낮은 업무 수준이나 치열한 경쟁상황을 싫어한다. 언변과 사교성으로 형성한 사회 관계망, 근면함과 업무의 완성도 등을 중시한다.
◆ 식신 일주
- 병진 일주 : "구갈고룡 求渴孤龍 풍류공거 風類共居 ⇒ 물을 구하는 용이 바람과 구름을 통해서 조화를 내는 형상…수완가, 자만심, 친화력
- 병술 일주 : "천중적복 天中赤伏 정성유급 情性有急 ⇒ 하늘의 밝음과 불타오르는 형상…근면함, 충동적, 영적직감, 학문과 기술방면 재능
- 정축 일주 : "수성가심 手成家心 심성여양 心性如羊 ⇒ 자신을 불태워 어둠을 밝히는 성숙함의 형상…봉사심, 독단적, 추진력
- 정미 일주 : "정화위성丁火爲星 미위화원未爲花園 ⇒ 별빛이 내리는 화원의 형상 …배려심, 다혈질, 친근감
- 무신 일주 : "무토위하 戊土爲霞 신위명도 申爲名都 ⇒ 가을산에서 수확을 거두는 형상…중후함, 적막함, 사업가적기질
- 기유 일주 : "청산고객 靑山孤客 수리자명 數理自明 ⇒ 홀로 뛰어남에 우주의 이치를 깨닫는 형상…전문기술 취득, 호기심, 외유내강
- 임인 일주 : "무의표호 無依豹虎 성정지급 性情之急 ⇒ 겨울철 호랑이가 의지할 곳을 찾는 형상 …총명함, 명예욕, 처세술
- 계묘 일주 : "계수위춘림 癸水爲春霖 묘위경림 卯爲瓊林 ⇒ 초목에 봄비가 내리는 형상 …여유로움, 은근한 고집, 신용과 의리 중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