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주·명리學/격국용신

편인격

by 八眉 2023. 4. 28.
◆ 「편인격」  성립

 


월지月支가「편인」이거나, 

월지月支 속의 「지장간(본기 우선) 」과 
같은 글자가 천간에 있고, 그것이 편인 일때..

편인격이 성립한다.

 

 

 

「편인격」  자평진전 성패와 취운법

 

격(格, 그릇= 삶의 목표)은 
쓰임(用, 담을것= 목표달성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편인격의 성패]

※ "성成"과 "패敗"는 곧장 길흉화복(吉凶禍福)으로 연결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회적 활동과 성취에 있어 얼마나 우호적인 환경인가?를 파악하고 삶의 태도를 어떻게(확장vs지킴) 가져 갈것인가! 등이 관건이다.  또, 위표는 1차원적 도식임을 감안해야 한다.


喜印官殺 以 相生刦才以護印
희인관살 이 상생겁재이호인

인수격(정인,편인)의 쓰임은  
"관성"과"재성"이 좋다.
인성은 관살을 가리지 않고 기뻐하며
재성의 견제를 겁재로 막아
인성을 보호하면 그또한 좋다.


印輕逢殺 官印雙全
인경봉살 관인쌍전

약한 "편인"을 "관성"으로 도울때 좋다.
원칙(관성)으로 덕망(인성)을 높이니 
문무文武 겸비 = "관인쌍전"이라 한다. 


身印兩旺 而 用食傷洩氣
건인양왕 이 용식상설

신(身, 본원=일주의 천간)과 격(格)이
모두 뿌리를 두고 왕성(旺) 한데..

"식신,상관"을 보아서 
신(身)은 "발산洩氣"으로, 
격(格)은 "제화制化"의 작용으로 
모두 쓰임을 가질때 좋다(吉)

다만, "식신"의 사용에 있어서는
"재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印多逢財 而 財透根輕
인다봉재 이 재투근경

재극인財剋印 ⇒ 
편인격이 뿌리없이 약한데, 재성財星을 볼때..
또는 살인상생殺印相生으로 
"편인"이 "편관"을 좋은 구실로 사용하고 있는데
"재성"을 보면.. 나쁘다(凶)

이렇게 재극인이 흉작용을 할때 
겁재가 재성을 합거合去하면 복되다(福)

재성은 본디 길신 역활이라서
인성에 적절한 긴장감을 유지시킨다
흉이라 하더라도 큰 재앙으로 보기어렵다  


도식倒食 ⇒ 
편인격이 강한데 "식신"을 보면 흉 하다,
하지만
"재성"이 적절(명조의 위치와 강세측면)
하다면 오히려 좋다(吉)

 

 

 

◆ 「편인격」 특성

 

독창적인 분야에서 자기만족을 추구하고자 한다.. 

〔자기몰입〕 다재다능한 면모와 끼를 갖추었으며 자신의 만족을 위해 노력한다. 〔양면성〕 매사를 스스로 판단하고 스스로 포기하는, 자신을 너무 과신하는 유형이다. 〔비범함〕 표출 방식이 부족한듯하나 잠재된 재능은 뛰어나다. 


전문적인 업무 수행에서 다른 사람에게 뒤지지 않으려 하며, 자아성장에 대한 강한 욕구 달성을 목표한다.  논리적 주장의 근거가 되는 뛰어난 인식력과 분석 능력이 있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너무 쉽게 예측하는 것, 중요한 존재로 인정받지 못하는것을 싫어한다.  자신만의 관심분야에 정통하고자 몰두하며,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를 중시한다.  

 

 


[바리메 오름]

'◆ 사주·명리學 >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격  (0) 2023.05.05
격국, 용신 정하는 방법  (0) 2023.05.02
건록격  (0) 2023.04.28
편관격  (0) 2023.04.28
편관격 사주풀이 ⇒ 닐스_보어  (0) 2023.03.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