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字用神 專求月令
팔자용신 전구월령
以日干配月令地支 而生剋不同格局分焉
이일간배월령지지, 능생극부동격국분언
팔자의 용신은 오로지 월령(月令)에서 구한다.
일간을 월지에 대조하면, 생하고 극하는 현상이 사주마다 다르니 이로써 격국이 나뉜다.
凡看命者, 先觀用神之何屬, 然後或順或逆,
범간명자, 선관용신지하촉, 연후혹순혹역.
以年月日時逐干逐支, 參配而權衡之, 則富貴貧賤, 自有一定之理也.
이년월일시돈간돈지, 삼배능권형지, 즉부귀빈천, 자유일정지리야.
무릇 사주를 보는 자는, 먼저 용신의 사주팔자 배석이 어떤지를 살펴서,
순용(順用) 또는 역용(逆用)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연월일시의 간지를 배합하여, 균형을 이루었는지를 살피면
부귀 빈천의 이치가 드러날 것이다.
不向月令求用神, 而妄取用神者, 執假失眞也
부상월령구용신, 이망취용신자, 집가실진야
월령에서 용신을 구하지 않고, 망령되이 용신을 취하면, 거짓에 빠져 진실되지 않다.
『출처: 子平眞詮자평진전』
◆ 격格 정하는 기본원칙
격은 〈월지(월령)〉에서 정한다.
월지의 지장간 중에서 투간(透干, 천간 글자와 같은 것이 있음)된 것을
〈격〉으로 정한다.
이때 지장간의 〈본기〉를 우선 살핀다.
◇ 보기..
월지 오(午)의 지장간은 丙己丁 이다.
이때 본기 정(丁)이 투간 되었는지 먼저 살핀다.
시간의 글자와 일치하므로, 정(丁)이 격이 된다.
정(丁)은 일간 갑(甲)의 상관이 되므로
격의 이름은 〈상관격〉이다.
◇ 본기가 투간 되지 않았다면..
중기, 여기 중에서 투간 된 것을 격으로 삼는다.
중기와 여기가 모두 투간 되었다면
⑴ 월간의 글자를 우선한다
⑵ 그다음 시간, 년간 순서로 한다.
⑶ 이때 합,충 된 것은 제외한다.
월지 오(午)의 지장간 중에서
본기 丁은 투간 되지 않았고, 丙과 己가 투간 되었다.
월간에 위치한 丙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년간의 辛과 합이 되어서 제외된다.
그래서 己가 격이 된다.
기(己)는 일간 갑(甲)의 정재가 되므로
격의 이름은 〈(정)재격〉이다.
◆ 격格 정하는 예외규정
월지의 지장간 모두가 투간되지 않았다면,
본기의 십신을 격으로 정한다.
가격(假格)이라 하여 그 역활은 약하지만
심리적 특성은 가져가되
대운에서 용신을 맞아야 성취한다.
◇ 합, 충 되는 글자는 제외한다.
충(沖) 작용은 격의 작용력을 약화시키는 것은 맞지만,
격에서 제외시키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천간의 합(合) 작용은 즉각적이고 영구적인 것이어서
십신 기능의 상실로 봐야 하기 때문에,
격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맞다.
다만, 시간+월간 / 시간+년간의 합은
일간을 뛰어넘어야 하기 때문에
격에서 제외해야 하는 구실로는 약하다. 논란이 있다.
◇ 월지가 왕지(旺) 일 때,
자(子)오(午)묘(卯)유(酉) 이면
본기가 투간 되지 않았더라도
본기를 격으로 인정한다.
논란이 있다.
◇ 월지가 고지(庫) 일 때,
진(辰)술(戌)축(丑)미(未) 이면..
투간 된 글자를 찾을 때
음양을 무시하고, 오행으로만 찾는다.
이 예외규정을 모든 사항에 적용하는 술사들이 있다.
논란이 있지만 법칙을 단순화하려는 좋은 시도라고 본다.
위 몇가지 논란들은
각자 하던, 영적 달인의 힘을 빌리던..
임상의 통계로서 자리 잡힐 것이다.
◆ 용신用神 찾는 방법
격(格)은 말 그대로 그 사람의 "그릇"이다.
격의 십신으로 심리적 특성을 표출하며
사회활동의 방향성을 정한다.
용신(用神)은그릇에 담을 것, 즉 사용할 주된 기운이다.
대운(大運)과 조합하여 길흉(吉凶)을 구하는 수단이 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격이 곧 용신이 된다.
하지만 사주 배석에 따라 용신을 따로 찾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앞으로 이어갈 "8정격" 편에서 다루겠다.
아래는 용신을 찾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사길신(財.官.印.食) 격의 용신
격의 십신을 생조(生助)하거나 설기(洩氣)하는 육신이 명조에 있다면
그것이 용신이다. 이것을 순용(順用)이라 한다.
사흉신(七殺.傷官.梟神.羊刃) 격의 용신
극제합화(剋.制.合化)를 필요로 한다. 이를 역용(逆用)이라 한다.
기신(忌神) 이란??
순용에서 용신을 합하거나 극하는 것
역용에서 용신을 생부(生扶)하는 것
구신(求神) 이란??
기신을 합.충.공망 등으로 제화 시키것
용희신(用喜神) 이란??
신왕한 사주가 희구(希求)하는 것은 식상食傷, 재성財星, 관성官星 순이며,
신약한 사주는 인성印星, 비겁比劫, 양인羊刃을 바란다.
◆ 참고자료 내려받기
사주명리학을 대표하는 한마디를 고르라고 하면..
八字用神 專求月令
팔자용신 전구월령
[영상출처: GeoTV]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