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주·명리學61

편인격 사주풀이 ⇒ 아인슈타인 ◆ 「편인격」 성립과 특성 편인격 ◆ 「편인격」 성립 월지月支가「편인」이거나, 월지月支 속의 「지장간(본기 우선) 」과 같은 글자가 천간에 있고, 그것이 편인 일때.. 편인격이 성립한다. ◆ 「편인격」 자평진전 성패와 취 8864.tistory.com ◆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이론물리학자) 1879. 출생(3월14일 오전11시30분, 독일 울름) 1903. 결혼(25세, 자녀3명) 1905.★ 특수 상대성이론 발표 (27세) 1916. 일반 상대성이론 논문발표(38세) 1919.▽ 이혼(41세, 곧 재혼) 1921.☆ 노벨 물리학상 수상 (43세) 1955. 사망(4월18일, 76세) ◆ 아인슈타인 ; 사회적 특성 http://8864.kr/ ▶「편인격」으로 「상관」을 쓴다. 신(身).. 2023. 3. 7.
삼합(三合) 〈삼합〉의 성립 해묘미(亥卯未→ 木) 목국 / 인오술(寅午戌→ 火) 화국 사유축(巳酉丑→ 金) 금국 / 신자진(申子辰→ 水) 수국 「4곳(방위,계절)」 각각에서 「생왕고(生旺庫)」 기운이 하나씩 모이면 〈삼합〉이 성립한다. 이때, 왕지(旺地) 오행의 기세로 변화되어 작용하는데.. 그만큼 목표 지향성과 결집력이 강한 기운이다. 그래서, 형충(刑沖)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논란있음) 다만, 반합(왕지+생or고) 경우에는 형충으로 합의 영향력을 상실한다. 〈삼합〉의 작용 생왕고 각각의 지장간으로 작용력을 예상해 볼수있다.. 운성포태(運星胞胎)로 보면.. 생왕고(生旺庫) ⇒ 장생(長生) + 제왕(帝旺) + 묘(墓) 십이신살(十二神殺)로 보면.. 생왕고(生旺庫) ⇒ 역마(驛馬, 地殺) + 도화(桃花, 將星殺) +.. 2023. 2. 15.
방합(方合) 〈방합〉의 성립 인묘진(寅卯辰→ 木) 목국 / 사오미(巳午未→ 火) 화국 신유술(申酉戌→ 金) 금국 / 해자축(亥子丑→ 水) 수국 〈12지지〉에서 「방위(동서남북)」 또는 「계절(춘하추동)」이 같은 3개 기운이 모이면 〈방합〉이 성립한다. 이때, 「대운(10년운)」을 포함한다. 명조에 방합이 갖춰졌더라도 대운에서 방합 3글자중 하나를 만날때 특히 운의 길흉이 발동한다. 월지(月)가 포함되어야 방합이 성립하는가? 의 논란이 있지만.. 〈방합〉의 3구성에서 〈월지〉가 포함되고 그것이 〈왕지〉라면 방합의 기운은 더욱 가중될 것이다. 〈방합〉의 작용 「방국(方局)」이라고도 하는데.. 「판(局=해당국면, 환경변화)」이 만들어져서 「생왕고(生旺庫=계획+실천+성과)」의 힘찬 기세(氣勢)를 발휘하게 된다. 삼합에 비해.. 2023. 2. 15.
육합(六合) 〈육합〉의 성립 자축(子丑)합, 인해(寅亥)합, 묘술(卯戌)합 진유(辰酉)합, 사신(巳申)합, 오미(午未)합 〈12지지〉의 「작용 동반자」는 360˚를 순환하는 「수열(수의 순서있는 나열)」의 방법으로 찾을수 있다. 삼합 = 360/4 방합 = 4/12 ± 360/12 형,충 = 4/12 + 360/2 그런데 〈육합, 파, 해〉는 위도, 경도를 기준으로 한 「대칭」관계에서 찾는다. 위 그림 처럼 「자오子午」선의 중심을 기점으로 23.4˚ 기울어진 지구 회전축을 만들고.. 그것의 각 대칭되는 관계에서 〈육합〉이 성립한다. 〈육합〉의 작용 〈육합〉은 육합의 충을 행운에서 맞으면 합이 깨지고 〈해〉가 발생한다. 반대로.. 명조에 〈육해〉가 있을때 행운에서 육해의 충을 맞으면 육합이 발생한다. 이 두가지 모두 .. 2023. 2. 14.
해(害)의 성립과 특징 〈해〉의 성립 자미(子未)해, 축오(丑午)해, 인사(寅巳)해 묘진(卯辰)해, 신해(申亥)해, 유술(酉戌)해 〈육합〉의 두글자중 한글자와 충하여 합을 깨고, 나머지 글자와 〈해〉가 성립합니다. 예를 들면.. 자축(子丑) 육합을 이루고 있을때, 행운에서 미(未)가 오면 ⇒ 축미(丑未) 충으로 〈자축육합〉을 깨어버리고, 자미(子未)는 〈해〉가 성립 됩니다. 반대의 경우는.. 자오(子午) 충 + 미(未) ⇒ 오미(午未)는 〈육합〉이 되어 우선 작용 하지만, 곧 자미(子未)는 〈해〉작용으로 앙갚음을 하게 된답니다. 〈해〉의 특징 해(害)와 파(破)의 작용력은 형충(刑沖)에 비해 미약하다 하지만.. 이렇게 합合과 충沖 사이에서 오묘한 작용을 보인다. 해(害)는 특히 육친지해(六親之害 = 六害)라고 하여.. 가족 관.. 2023. 2. 13.
파(破)의 성립과 특징 〈파〉의 성립 자유(子酉)파, 축진(丑辰)파, 인해(寅亥)파 사신(巳申)파, 오묘(午卯)파, 술미(戌未)파 〈파〉는 황경(황도좌표계 경도) 90˚ 차이로 성립합니다. 음양(陰陽)이 같은것 끼리 짝지워져 있는데, 〈형,충,파〉는 같은 생왕고(旺生庫)에서 발생함을 의미합니다. 〈파〉의 특징 破 한자뜻 ⇒ 깨뜨리다, 파괴하다.. 운에서 맞을때 ⇒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하여 그동안의 잘못된 것을 "정리"하고 "고쳐서 분리"하는 환경을 맞이하게 됨. 사회적 활동 영역에서는 처음의 뜻을 바꾸어 계획을 변경하게 되거나, 그결정이 의외의 사건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수술, 치료 또는 그간 병치레의 완치 상황이 될수도 있음.. 작용력의 세기 ⇒ 파破만 독립적으로 보면 〈형,충,해〉보다 작용력은 약하.. 2023. 2. 12.
진술충, 축미충 고지(庫支)의 충(沖) = 진술충(辰戌)+축미충(丑未) 충(沖)의 뜻 ⇒ 「부딪히다」 「비다」 충(沖)의 작용⇒ 충돌, 비움 그리고 변화 土오행은 기본적으로 음기와 양기의 중재 역활로서 지장간의 "본기"가 같으므로 충돌의 작용은 여타에 비해 매우 약하다 하겠고, 겉으로 들어나지 않는 미묘한 갈등 정도이다. ◆ 〈삼합〉으로 살피는 〈고지충〉의 심리변화 〈진술충〉은 신자진(⇒水) 과 인오술(⇒火) 삼합의 〈고지〉끼리의 대립이다. 수화(水↔火) 대립은 정신적 측면의 변화 양상을 띤다. 강직, 과단성, 과묵한 편이며 이상에 대한 갈망..형이상학적 고고한 취향을 발휘한다. 다소 뜬구름 잡는듯 내면의 부침을 겪을수도 있다. 명조에 따라서는 고독(孤獨)과 고귀(高貴)가 엇갈리는 희기(喜忌)의 미묘함이 있다. 〈축미충.. 2023. 2. 12.
인신충, 사해충 생지(生支)의 충(沖) = 인신충(寅申)+사해충(巳亥) 충(沖)의 뜻 ⇒ 「부딪히다」 「비다」 충(沖)의 작용⇒ 충돌, 비움 그리고 변화 〈생지〉 특성이 보태진 〈충〉 작용 ⇒ 맹렬함으로 충돌의 에너지가 넘치고 여타의 자잘하게 신경쓰던 사건들 마저 이속에 묻혀 버릴만큼 변화의 휘말림이 크다. ◆ 〈삼합〉으로 살피는 〈생지충〉의 심리변화 명조에서의 "충"의 심리적 특징은 세세한 면이 부족할 뿐더러 크게 개의할 필요는 없는 수준이다. 다만 〈운〉에서 〈충〉을 맞을때나, 명조의 충을 발동 시킬때 마음에 새겨 주의를 기울여야 할 일이다. 〈인신충〉은 신자진(⇒水) 과 인오술(⇒火) 삼합의 〈맹지〉끼리의 대립이다. 수화(水↔火) 대립은 정신적 측면의 변화 양상을 띤다. 〈인신충〉의 물상으로 직업 변동, 남녀 이별.. 2023. 2. 11.
자오충, 묘유충 왕지(旺支)의 충(沖) = 자오충(子午)+묘유충(卯酉) "지지"의 《충》은 "천간"의 칠살처럼 7번째의 마주보는 자리입니다. 에너지(氣)의 방향(方位)이 정반대여서 서로 어긋나게 작용하여 충돌합니다. 충(沖)의 한자뜻 그대로.. 「부딪히다, 비다」의 환경을 맞습니다. 충돌하고 비어진 자리는 곧 새로운 채움을 모색 하니 「변화의 시초」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왕지〉의 특성이 발휘되어 변화는 즉각 분명하게 들어나므로, 그 영향력이 다른 〈충〉에 비해 길지는 않습니다. ◆ 〈삼합〉으로 살피는 〈왕지충〉의 심리변화 〈명조〉가 가지는 〈자오충〉의 심리적 특징은 순박하고 조심성이 심하고 결단력이 부족하다 이지만 크게 개의할 필요는 없다. 〈운〉에서 〈충〉을 맞을때나 명조의 충을 발동 시킬때 마음에 새겨 주의를 .. 2023.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