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주·명리學61

지장간 / 월률분야 지장간(地藏干) ?? 12지지 속에 숨겨져 있는 10천간의 기운 아래 "월률분야" 표에서 "괄호() 글자"는 지장간에서 제외함이 요즘 추세.. 월률분야(月律分野) ?? 월지(月支)는 《사령기간(초,중,본기)》을 두고 월과 계절의 경계를 짓는다. ◆ "지장간"의 쓰임 ◇ 조후(調候) = 한난,조습 지장간 속에 水기운( 壬or癸) 또는 火기운(丙or丁)이 있나?로 해당 지지의 기운을 판단하고 이를 전체 "사주"에서 파악하여 한난(寒暖) 조습(燥濕)을 판단함 지장간에 水火 기운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는 없으며, 모두 없는 경우는 묘(卯) 유(酉) 뿐임 ◆ "월률분야" 의 구성 초기(初氣) 전달의 본기(本氣)와 같음. 아직 남아 있다는 의미에서 여기(餘氣)라고도 함. 중기(中氣) 중간 지점의 성장기. 왕지의 .. 2023. 1. 24.
자형(自刑) "형(刑) 충(沖) 파(破)"의 작용은 욕망(삶의목적)을 달성을 위한 "수단"의 변화로 나타남, ■ 자형(自刑)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 병존자형(竝存自刑) + 행운동착 → 의존(특히 일시에 동주), 불안초초, 강박 돼지, 사슴, 닭.. 동류간 투쟁심 → 고집, 돌변, 포악, 무례 충(沖)파(破)에 비해서 "형(刑)"은 시간과 관계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가 얽혀 있거나 어수선하여 갈피를 잡기 어렵다. 길흉(吉凶)의 따짐은 형(刑)이 발동되는 오행의 십신(十神)이 사주안에서 어떤 역활을 하고 있는가에 달렸다. 반겨서 사용할 기운(用喜神)이 형을 당한다면… 구설, 상해, 불화.. 등 마찰과 흉사에 쉽게 노출될 수 있음이고, 꺼리는 기운(忌神)이 형을 당해 갇힌다면서… 극복, 해결, 성취.... 2023. 1. 23.
축미형 ⇒ 해묘미 vs 해자축 "형(刑) 충(沖) 파(破)"의 작용은 욕망(삶의목적)을 달성을 위한 "수단"의 변화로 나타남, 해자축 水 + 해묘미 木 ⇒ 水생木 → 극왕한 木기운 → 목국(木局) 안에서 형刑의 작용 ◇ 축미刑 축(사유축 金고지→申→천간庚) ↔ 미(해묘미 木고지→寅→천간甲) = 절(絶) ↔ 절(絶) "축미沖" 의 관계를 우선 살핌, 재주(술=天藝星) + 활동(미=天驛星) 2023. 1. 23.
축술형, 사신형 ⇒ 사유축 vs 신유술 "형(刑) 충(沖) 파(破)"의 작용은 욕망(삶의목적)을 달성을 위한 "수단"의 변화로 나타남, 사유축 金 + 신유술 金 ⇒ 극성한 金기운 → 금국(金局) 안에서 형刑의 작용 ◇ 축술刑 축(사유축 金고지→申→천간庚) ↔ 술(인오술 火고지→巳→천간丙) = 병(病) ↔ 생(生) 재주(술=天藝星) + 활동(미=天驛星) → 기술연구직, 손재주 애써 가꾼 밭(미土)에 흙더미(술土)가 덮침 개(술)가 지켜야 할 양(미)을 공격함 → 한순간에 큰손해, 극단성, 냉정함, 배신 ◇ 사신刑 사(천간丙) ↔ 신(천간庚) = 생(生) ↔ 병(病) 학문(사=天文星) + 결실(신=天孤星) → 문무겸비 2023. 1. 23.
자묘형, 인신형 ⇒ 신자진 vs 인묘진 "형(刑) 충(沖) 파(破)"의 작용은 욕망(삶의목적)을 달성을 위한 "수단"의 변화로 나타남, 신자진 水 + 인묘진 木 ⇒ 水생木 → 극왕한 木기운 → 목국(木局) 안에서 형刑의 작용 ◇ 자묘刑 자(천간癸) ↔ 묘(천간乙) = 병(病)↔생(生) 부귀(자=天貴星) + 깨짐(묘=天破星) → 욕심으로 부와 귀가 흔들려서 흉화를 맞음, 생식기,치부(자) + 바늘찌름(묘) → 유산낙태, 무례함 ◇ 인신刑 인(천간甲) ↔ 신(천간庚) = 절(絶) ↔ 절(絶) 서로 끊어냄, 깨끗이, 그리고 새로운 시작 맞음 인신刑에 앞서 인신沖의 관계를 우선살핌, 형충의 개별특성을 인정치 않는다면 극심×4 정도의 변화로 이해, 지혜(인=天權星) + 고독(신=天孤星) 2023. 1. 23.
인사형, 술미형 ⇒ 인오술 vs 사오미 "형(刑)충(沖)파(破)"의 작용은 욕망(삶의목적)을 달성을 위한 "수단"의 변화로 나타남, 즉‥ 관계, 건강, 직업, 거주지, 사건사고 등이 촉발하는 흥망성쇠 현상을 말한다 .. 삼합 VS 방합 형(刑)의 작용원리(작용이 일어나는 배경)는 12지지의 삼합과 방합이 같은 오행의 기운으로 대립하는 과정에서 형(刑)이 작용 하게되는 것이다, 형(刑) 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은 십신의 큰틀에서 길흉을 따져보면 될것 임, 형(刑)의 종류에 따른 개개 현상에는 매달리지 말것, 명리學 고대 기본서 에서는.. 간지의 작용에 대한 성립요건은 전하고 있지만, 개개 요건의 현상적 특징은 밝히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알수 없음이다. 다만, 12운성(運星, 천간과 지지의 연결관계), 12성(星, 고법 당사주) 자의형상 .. 2023. 1. 23.
12지지' 생왕고 12지지(地支)의 분류 생지(生支), 왕지(旺支), 고지(庫支) 12지지(地支)는 계절의 흐름으로 음양오행을 표현한다. ...봄 ⇒ 인(寅), 묘(卯), 진(辰) 여름 ⇒ 사(巳), 오(午), 미(未) 가을 ⇒ 신(申), 유(酉), 술(戌) 겨울 ⇒ 해(亥), 자(子), 축(丑) 생지(生支) ⇒ 인신사해 계절의 시작 , 새기운을 맞기위해 큰에너지 필요 함 → 모두 陽 맹지(孟支, 맹렬함=기세가 사납고 세참) / 역마살 왕지(旺支) ⇒ 자오묘유 계절의 절정 , 내적으로 충만한 상태, 확장하는 양의 활동을 멈춤 , 合작용에도 특성 잃지않음 → 모두 陰 욕패지 / 도화살 고지(庫支) ⇒ 진술축미 계절의 정리 , 이전 계절의 기운을 마무리 하면서.. 다음계절과 맞추어 고름. 고지(庫, 창고) 또는 묘지(墓, 묻.. 2023. 1. 23.
십이성 당사주 십이성(十二星) ⇒ 당사주의 수단으로써 12지지의 고유 특성을 자형(字形) 및 음양(陰陽)의 관점에서 파악함, 당사주(唐四柱) ⇒ 당나라 초기부터 성행한 점성술로서, 12지지를 각각의 별자리에 배속시켜 운명의 길흉화복을 대조하였음, | 현대 명리학의 근간이 되는 자평명리학(일간 중심의 복식판단법)이 등장하면서, 고법(년주의 록명신祿命身 기준한 단식판단법)과 함께 들러나지 않았지만, 당사주 만의 직관적인 적중률과 유용성 면에서 인정받아 명맥 유지함, | 십이성 당사주는 시기법(년주를 기준으로 십이성을 따짐)에 따라 구분하기보다는 단순히 일지의 동태를 살피는 기제로서 참고만 하고, 단 십이성의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는 숙지가 필요함. | 귀, 권, 간, 문, 복, 예, 수(貴權奸文福藝壽) 7길성 / 액, 파,.. 2023. 1. 22.
10천간' 물상과 심리 10천간 자연물상 物象 심리 특징 갑甲 陽木 기쁨(喜) : 병火 꺼림(忌) : 가을철 土 쓰임(用) : 水火 통관 - 하늘 : 용龍 우뢰천둥雷 - 지상 : 식물의뿌리 根(생물체 근본) - 인체 : 두골頭骨(체대와 연결된 상위) - 동물 : 용구龍龜(바다, 호수) 산호珊瑚 - 식물 : 송백松柏 동량목棟梁木 ▷ 자의형상 : 껍질의 터짐, 싹이 나옴 -(비견) 주체성,자립성 - (편재) 지배성, 동기부여 역할 을乙 陰木 기쁨(喜) : 갑木, 병정火 꺼림(忌) : 火水의 불균형 쓰임(用) : 지지의 水火균형 - 하늘 : 바람, 유동기流動氣 - 지상 : 초목, 묘엽苗葉 - 인체 : 사지말미四肢末尾, 주로 팔 - 동물 : 조류(여름텃새, 참새) - 식물 : 난, 芝(지피식물, 버섯) ▷ 새싹이 땅위를 차고 나옴 -.. 2023.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