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刑의 성립 ⇒ 인사신(寅巳申) / 축술미(丑戌未) / 자묘(子卯) / 辰辰, 午午, 酉酉, 亥亥
- 형刑의 성립요소가 사주四柱八字에 갖춰진 경우 → 형刑의 심리적 특징은 발현됨, 길흉(吉凶)의 사회적 성과는 필요 운(運)이 올때 발동 함,
- 형刑의 요소가 운運에 의해 갖춰져 성립된 경우 → 신강약(身强弱), 용신(用神)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사회적 성과의 길흉을 예상 할수 있음,
형刑의 작용 ⇒ 형벌(刑罰) 제어(制御) 살(殺) 해(害) 등등.. 규범(規範)이나 제재조치(制裁措置)와 같은 작용
- 목적의 달성 또는 전환을 위해서 희생을 감수하는 과정 또는 관계(조직)를 위협한 댓가를 돌려 받음. "충,파"의 작용과 다른점은 상대적으로 제재의 기간이 길고,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는 점.
- 형(刑) 충(沖) 파(破) 해(害)의 작용은 "어느곳(宮, 根 ..)"에 "발생하였다" 라는 개괄적 관점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형(刑)의 성립 원리(삼합과 방국의 대립과정에서의 생왕고)를 더 따져 보는 것이 바람직 할것이다.
- 길흉 우선으로 형(刑)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에만 촛점을 두면... 결국 주술적인 함정에서 나오기 힘들다 본다. 아래는 그 함정의 전형적인 보기가 될수 있을 것임.
■ 인사신(寅巳申) 삼형
무은지형(無恩之刑) ⇒ 인사신(寅巳申) 속의 지장간들 사이의 생극제화 관계에서 보면.. 은혜(生) 갚음이 없다는 뜻.
/인寅과 사巳의 관계를 보면..
寅중 丙火 → (生) → 巳중 戊土 → (生) → 巳중 庚金 → (克) → 寅중 甲木 → 寅의 은혜(生)를 巳는 대항함(克)으로 돌려줌.
/사巳와 신申 , 신申과 인寅 관계 또한 마찬가지 임,
위와같은 이유로.. 인사신 삼형의 작용 특징을 이렇게 파악하는 한다 하는데.. 한번 읽어볼 정도로 여기시길..
타인 무시, 매사 속전속결 처리로 후회 자처 / 험한 운로(運路) 겹치면 관형(官刑), 교통사고, 약물 중독, 수술, 총상.. / 지인들과 배신, 반목으로 시비 송사(訟事) 관재(官災) 등의 재화 이어짐. / 寅巳형은 해(害) 작용 포함으로 영향력 크고, 巳申은 합이 되면서 형이 되어 처음에는 결합하여 유정(有情)한 듯하나 결국은 원수로 변하는 꼴..
■ 축술미(丑戌未) 삼형
지세지형(持勢之刑) ⇒ 붕형(朋刑) , 같은 토土 오행끼리 서로 형刑 한다는 뜻 / 축丑과 술戌, 술戌과 미未의 지장간들이 서로 형극(刑剋) 함,
가까운 지인들과 사소한 이익관계로 권리 다툼 / 불신, 배신, 부부불화, 배신 이별 등으로 고독, /丑戌未 삼형 + 유기(有氣) → 생사 여탈 결정권한 가짐,
■ 자묘(子卯) 상형
무례지형(無禮之刑) ⇒ 목木은 자水의 욕지(浴地)가 되어 묘木은 계모(繼母, 편인) 子水를 연모하는 꼴이라 하여 패륜(悖倫) 무례無禮 함으로 해석 / 묘木이 자水를 만나면 상생相生을 예상 했지만 수水 기운을 감당치 못하고 반극(反剋)현상으로 변하여 애로가 발생 함.
불청객이 주인 행세, 몰염치, 불륜, 무례, 간통, 변태성욕 등의 구설, 시비, 형액(刑厄) , 난폭 패륜적 행동..
■ 자형(自刑) : 辰辰, 午午, 酉酉, 亥亥
수水 | 화火 | 금金 | 목木 | |
삼합三合 | 신申 자子 진辰 | 인寅 오午 술戌 | 사巳 유酉 축丑 | 해亥 묘卯 미未 |
방국方局 | 인寅 묘卯 진辰 | 사巳 오午 미未 | 신申 유酉 술戌 | 해亥 자子 축丑 |
위의 배열에서 진辰, 오午, 유酉, 해亥는 형충(刑沖) 일어나지 않음 → 자신의 안전만 도모하는 꼴, 자해와 같이 자화자초(自禍自招) 자형
- 辰辰 자형 : 왕한 수고(水庫) → 수재(水災), 냉해(冷害),매몰(埋沒), 익사(溺死) 등의 사고와 피부병, 위장병 등이 염려
- 午午 자형 : 극왕 폭발상태 → 화기(火器)사고, 폭발, 충돌,총상 등이 염려..
- 酉酉 자형 : 숙살(肅殺) 金氣 → 연장,기계 등의 상해(傷害), 수술 경험 등..
- 亥亥 자형 : 해일같은 왕한 수水 기운 → 수재, 폭설, 폭풍, 한파로 인한 해..
'◆ 사주·명리學 > 형충회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술형, 사신형 ⇒ 사유축 vs 신유술 (0) | 2023.01.23 |
---|---|
자묘형, 인신형 ⇒ 신자진 vs 인묘진 (0) | 2023.01.23 |
인사형, 술미형 ⇒ 인오술 vs 사오미 (0) | 2023.01.23 |
12지지' 생왕고 (0) | 2023.01.23 |
12지지' 자의형상 (0)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