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주·명리學/십신육친

슬기로운 팔자공부(5) : 사회성

by 八眉 2025. 3. 19.

"태어나서 사라진다" 라는 만물의 이치는.. 사람에게는 알지못함의 영역이다.
하지만, 생(生)과 사(死)의 중간 과정인  [생존]은 우리가 다룰수 있는 영역이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서 뇌(마음)를 환경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5만년 동안 진화시켰다.

적응(adaptation) 이란? 
환경의 변화나 요구에 맞춰 자신의 행동, 사고, 감정을 조정하는 것이다. 


심리치료의 대상이 바로 이것이다.  
적응하지 못함 → 이상심리(Abnormal Psychology)
https://8864.tistory.com/73

나 혼자 산다면 normal 이라는 기준은 필요없다.
그래서.. 부적응은 곧 "사회적 부적응"을 말한다. 

사회부적응 (Social Maladaptation)의 증상은..

✅ 대인관계 형성, 유지의 어려움  ✅ 사회 규범과의 충돌  ✅ 감정 조절(충동, 분노 극단적 변화)의 어려움  ✅ 불안과 스트레스  ✅ 자존감(자기비하) 문제 


사주팔자에서 사회부적응에 취약한 정도를 알 수 있다. 

원의 화살표가 생화(生化)의 방향이고
별모양의 화살표가 극제(剋制)의 방향이다


"사회성"의 정점은 [③효율]이다.
③은 관계를 조정하여서 최대의 성과물을 성취하는 것을 목표한다.
눈치와 판단력이 좋고 합리적이여서 그 의견에 수긍하게 된다.
조화로운 사람이다.

②는 부족한 사회성이다.
③이 활발하도록 생(生)의 환경을 만들어 주고
그 과정에서 ② 자신은 성숙한 기운으로 변화(化)한다. 
예를들면.. 일곱살 아이가 처음 학교에서의 경험이다.
책상에 앉아 있을때와 운동장에서 뛰놀때,
친구와 선생님의 구분을 배우면서 사회성을 높여간다.
하지만 찧고 까불어대던 창의적 행동은 점차 약해진다.
②는 길들여 지기전의 아이처럼
호기심 많은 발랄한 사람이다.

④는  경직된 사회성을 말한다.
③으로부터  힘을 받아서(生)
조직화를 꾸리고 원칙을 우선하는
솔선수범하고 규범적인 사람이다. 


사회적 부적응에 취약한 기운은 
③을 억누르는(剋극)  [①본능]과
③에게 억눌림을 당하는(制제)  [⑤수렴]이다.



[출처:kr.pinterest.com/skima80]

①은 반사회성이다.
함께하되 자기의 신념이 우선되야 만족한다.
예를들면.. 원주민을 몰아내고 황량한 서부로의 개척을 멈추지 않았던 대륙의 침탈자들,
또는 승부의 긴장감을 이겨내는 운동선수,
사회의 통속성에 냉담해 하는 예술가..
독단적이지만 추진력과 결단력의 장점이 있다.  
①은 주도적이고 대담한 사람이다.

 

[출처:khan.co.kr/article/201807120600035]

⑤는 탈사회성이다.
관계를 회피하고 경쟁상황에서 철수를 선택한다.
예를들면.. 요즘 TV에서 절정 인기(?)를 누리는 판사들이다.
정의, 여론, 정황, 감정 등은 무시하며 새로운 사실을 밝히려는 의지도 없다.
오직, 자기 앞에 제출된 증거와 잣대가 될 헌법 뿐이다.
밥상이 차려지길 기다릴뿐이지 밥을 짓지는 않는다.
이것은 체계화지수(SQ, Systemizing Quotient 논리적으로 규칙 패턴을 찾는 능력)가 높고
감정지능(EQ, Empathy Quotient 공감능력)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배움을 수렴해 냄에 특화된 디지털지능에 가까운.. 
⑤는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논리적인 사람이다.


심리학 대표이론의
사회부적응의 원인

https://8864.tistory.com/66

      1. 정신분석 이론 (Psychoanalysis)
        원인 : 무의식에 억압된 갈등
        접근 : 무의식을 의식화(통제) 하여 왜곡된 방식으로의 영향을 차단시킴

      2.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
        원인 : 사회적 관심(공감, 공동체감)을 중시하는 열등감
        접근 : 생활 양식(개인 패턴, 가족에 의해 형성)의 변화로 부터 우월성(자기실현)을 추구함

      3.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CT)
        원인 :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자동적 사고로 현실을 왜곡함
        접근 : 인지 왜곡을 식별하고 인식시켜 합리적 사고로 교정함

      4. 현실치료(Reality Therapy)
        원인 : 부적응 행동은 자신의 기본적 욕구 파악, 방식의 잘못 등의 이유로 충족하지 못함으로 발생
        접근 :
        욕구 충족을 위한 효율적 행동 학습으로 자율적이고 성공적인 정체감 형서

      5. 게슈탈트(Gestalt) 상담이론
        원인 : 미해결 과제(억압,부정된 무의식)
        접근 : 자신의 감정,욕구를 "알아차림" & 환경과의 건강한 "접촉"을 회복

      6. 인간중심 이론(Person-centered therapy)
        원인 : 자기개념(자기규정)과 실제경험의 불일치
        접근 : 상담자의 비지시, 내담자 주관적 경험에 초점, "지금-여기"의 경험에 집중 

      7. 합리정서행동치료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원인 : 비합리적 신념체계 (당위성, 파국화, 인내심부족, 인간비하)
        접근 : 논박, 합리적 신념 제시, 행동적 실험..

      8. 행동주의 이론 (behaviorism)
        원인 : 잘못 학습된 부적응 행동의 결과
        접근 :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 제시, 객관적 평가, 단기 변화 촉진

 

 

[출처: 월간 김어준]

 

 

'◆ 사주·명리學 > 십신육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기로운 팔자공부(2) : 성격유형 찾는법  (0) 2024.02.20
슬기로운 팔자공부(1) : 십성  (0) 2024.02.18
신살 모음 조견표  (0) 2023.04.28
원진, 귀문  (0) 2023.04.24
천덕귀인, 월덕귀인  (0) 2023.04.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