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성격·심리學

2. 이상심리학

by 八眉 2023. 12. 23.
2. 이상심리학

~03.     
개념과 이론모델 , 이상행동 분류와 평가
~15.     DSM 12유형 ~ 불안, 강박, 외상, 해리, 우울&양극성, 조현, 성격장애, 섭식&수면, 성관련, 중독, 신경발달, 충동

 

2-1. 이상심리학 개념

* 이상성 =
/abnormal behavior, 관찰 측정 가능한 사회부정응 심리 특징
/ mental discorder, 특정 이상행동의 집합체

 

              판별기준 = 이상성 vs 정상성

1.        적응(기능)의 저하 및 손상
/
문제점 = 경계모호, 평가근거부족, 연관기능 무엇?
/
순응(개인, 환경의 요구에 맞춤) - 동화(요구에 변화됨)

2.        주관적 고통, 불편감 = 부적응 상태와 밀접

3.        문화 규범 일탈

4.        통계기준 = 지능지수(70미만 2%, 85미만 13%, 100미만 35%)

 

              이상심리의 역사

중세 = 악마론, 무도병(tarantism, 성비투스 춤)

/ 르네상스 = 수용소, 파라셀수스(질병주장), 요한(정신병리학)
/ 19C = 도덕치료(대형정신병원), 분트.크렉(심리검사)
/ 20C~ = 브로이어(최면, 전환증상해결), 프로이트(분석), 1950년대(정신약물, 탈수용화), 60~70년대(인본, 행동.인지)

 

2-2. 이론모델·치료개입

    생물학적 이론 = 질병 규정, ..
/
우울증: 세로토닌. 노르에피- 신경전달물질 저하
/
불안 기분장애: 코르티솔 호르몬 분비 이상
à 약물치료, 전기충격 요법

    정신분석 이론 = 프로이트 성격구조, 심적에너지
/
일반화 곤란, 심리치료 역사에 중요점

    행동주의 이론 = 조건형성, 모델링
/
치료기간 짦음, 효과입증, 체계적 둔감화

    인지모델치료 = 1960' 앨리스, 아론벡
/
지각 영향, 태도 + 자동적 사고 à역기능(공황.공포.우울)
/
마음챙김 인지치료, 수용전념치료 à내적 과정에 초점, 인지왜곡 -장애원인모름, 결과있음

    가족.사회.문화적 모델과 치료

 

2-3. DSM

* Diagnostic and Satistical Manual of mental,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 DSM-ⅰ(1952) ~ ⅳ(1994) ~ DSM-5(2013, 인지.행동.정서조절-유의한 장애)

 

              분류 유용성 Golden berg'

    효과적 의사소통 = 체계적 연구, 원인의 이해증진 à 종사자 공통용어 제공, 모호함 감소

    단점 = 환자 낙인, 치료효과 선입견 / 분류 편향(성적.., 종교적..) / 내담자 희생 인상(수동, 의존적 사람으로)

    신경증 vs 정신증 =
/
판단력(정상vs손상) /주요장애(불안.우울vs정신분열) /자기이해(있음vs없음) /사회적응(경미vs심각) /치료방식(외래.방문vs입원)

    DSM-5 개정배경 =
/
범주적 진단 보완 à 차원적 평가 도입
/
신경 생물학 중요성 확대, 공존질환 진단 필요성

    장애진단 지양점(내담자 희생물) 외에 추가고려사항
/
정신장애 자체가 존재함의 인상
/
사람 분류에 더만족X, 수동의존X, 오명X

'◆ 성격·심리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심리검사  (0) 2023.12.25
2A. 이상행동 12유형  (0) 2023.12.23
1G. 심리학 연구방법론  (0) 2023.10.06
1F. 사회심리학  (0) 2023.10.05
1E. 인지심리학  (0) 2023.10.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