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 「 지식형성(지각·기억) → 과제해결(사고)」 등의 내용과 과정을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
◇ 인지?? ⇒ 지각(감각수용) + 기억(저장) + 사고(개념·상상, 판단·추리)
◇ 이론= 구조주의, 행동주의, 연결주의 / 지각= 주의, 착각, 조직화 / 기억= 분류, 과정, 유형, 인출
◆ 이론적 접근 |
▶a.. 구조주의_분트'
- 의식내용과 앎의 과정에 초점, 자연 과학적 실험 사용
- 내성법 = 자기성찰, 언어적 보고
▶b.. 행동주의_왓슨'
- 관찰 가능한 과정(자극과 반응의 조건형성)에 초점
- 내성법 무시
▶c.. 인지과학_연결주의 connectionsim
-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생물 신경망 구조를 이용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마음 현상, 심리적 기제를 구체적으로 구현 함
- 마음 = 여러 정보들의 병렬처리 체계, 심리적 과정의 모형화
연결주의의 지능체의 특징은 학습의 방식이다. 연결주의의 지능체에는 사전 범주의 분류 기준을 주거나 미리 작업 단계를 줄 필요는 없다. 이른바 인간의 성인이 가진 "개념 체계"와 "상식 예절"에 해당하는 것을 사전에 줄 필요는 없다. 연결주의의 지능체는 처음에는 "백지" 상태이며, 다수의 사례를 주고 "경험"함으로써 스스로 천천히 "학습"해 간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연결주의]
◆ 지각 preception |
▶a.. 주의
- 외부자극(정보) 중에서 제한된 대상에 집중할때 작동하는 기제 ⇒ 전경(figure) & 배경(ground)
- 주의 발달 요인 ⇒ 선택(어떤것에) , 상태(나의몰두) , 통제(선택과 상태의 조절)
- 실수 원인 ⇒ 습관된 행동(연습이 잘된 과제)과 주의 관계의 복잡성
- 실패 ⇒ 주의실패(은박지먹고껌을버림) , 기억실패(유명인의 이름)
▶b.. 착각
- 외부자극의 잘못된 해석
| 지각항등성 = 자극(모양,밝기,색상)이 바뀌어도 대상은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는 기능
| 지각-착각의 원인 = 주변의 맥락, 뮐러-라이어' 착시 화살표
▶c.. 조직화
- 조직화?? 내적표상이 게슈탈트(부분의 집합이 아닌, 완전한 전체의 형태)를 구상함
- 형태지각 = 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 연결성
- 깊이지각
| 양안단서(두눈간격 6㎝) = 시선 수렴, 뇌 - 거리판단
| 단안단서(한쪽눈) = 상대적크기(망막영상 작을수록 더멀리), 중첩(같은물체 가려진 부분이 더멀리), 상대적 명확성 (흐린윤곽이 더멀리) , 결의 밀도변화(좁고 구별힘든것이 더멀리), 상대적 높이(시야 윗쪽것이 더멀리), 선형조망(평행선 한점으로 모임) - 운동지각
| 스트로보스코픽 운동 (파이현상) = 영화필림을 운동으로 지각함
| 운동 파라랙스 = 운동하는 관찰자가 정지 배경을 볼때 - 자극의 해석
| 감각 박탈과 시각 회복 = 결정적 시기(~10세) 안에 적절한 발달이 있어야 함
| 지각순응 = 지각은 환경에 쉽게 적응함 --좌우바뀐 안경 8일만에 적응
| 지각적 갖춤새 = perception set, 믿는대로 보임, 사물을 한가지 방식으로만 지각하려는 심적 상황.
| 맥락효과 = 지각 과정에서 환경요인의 영향 받음, 극단적으로 다른 지각을 촉발할 가능성 --쾌·불쾌 등
⇒ 경험이 어떻게 지각을 구성하는지 보여줌
◆ 기억 memory |
▶a.. 기억의 분류
- 외현기억 = 의도적 저장 --자각, 연령·약물의 영향 받음.
- 암묵기억 = 무의식적 저장, 간접방법 측정, 간섭조작 영향 없음.
- 일화〃 = 특정 시간·장소, 자서전적 성격
- 의미〃 = 일반 사실 ·지식, 학습 시관과 무관
- 서술〃 = 사실정보(단어.날짜.개념) , 의도적 접근 가능
- 절차〃 = 몸에 습득(자전거.신발끈
▶b.. 기억의 3단계 과정
- 습득. 약호화(부호화) = 자극을 입력
- 보유.저장 = 정보 유지, 의식적 노력, 실패 - 영구적 망각
- 인출 = 무의식 자동 or 능동 노력 실패 - 단서 필요
▶c.. 기억의 단계별 유형
- 감각기억 = 용량·유지기간 극소 제한적, 영상·잔향
- 단기〃(작업기억) = 20~30초, 5~9개
| 시연(rehearsal) · 군집화(chunking) ⇒ 시간·용량 증가시킴
| 망각 ⇒ 쇠잔(대치,쇠퇴) / 순행간섭(현재 자극이 이전 학습자료 재생에 간섭) / 역행간섭(새자극이 시간역행 과거자극 간섭) - 장기 〃 = 섬광기억, 최면기억 - 영구성 증거
| 망각 ⇒ 비효율적 약호화, 소명, 간섭, 인출 실패 - 망각을 원함)
▶d.. 기억의 인출
- 부호 = 의미처리(정교), 심상, 조직화(정크, 위계, 스토리), 자기참조
- 명세성 = 분명·자세함, 방식 ·맥락의 일치
- 인출단서효과 = 함께 저당된 정보 같이 제공함
- 맥락효과 = 학습 장소에서 시험 더 잘봄
- 도식효과 = 단어 제시 순서 바뀌면 뜻이 달라져
▶e.. 언어와 사고
- 단어우월성 효과 = 낱글자는 단어(문장) 속에서 더잘 재인됨
- 의미점화 = 단어 제시의 맥락, 장미 - 연필 제시는 연결깨짐
- 대표성 발견법 = 대표적 인지로 확률 추정
- 가용성 발견법 = 결합된 두사건을 높게 추측함, 죠스발견-수영 꺼림
▶f.. 정서이론
- 3차원이론_분트 = 쾌-불쾌 , 긴장-이완, 흥분-우울
- 관계이론_제임스 = 사건-행동이 정서를 유발시킴
- 캐논-바드 = 뇌-시상하부가 정서의 매개
- 인지평가이론_스탠리 = 생리적 각성 + 인지적 평가 --> 정서 경험 발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