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성격·심리學

1C. 학습심리학

by 八眉 2023. 9. 27.
..학습심리학

◇ "학습" 뜻⇒ 기술·지식 습득 & 경험(지식·행동의 영속적 변화)

◇ 학습 조건 ⇒ 동기(욕구) , 지각(자극-수용) , 반응(자극-행동) , 보상(강화물-내면적변화)

◇ 이론 ⇒ 고전적 조건형성_파블로프 / 조작적 조건형성_스키너 / 인지학습_퀼러,툴만,레빈 / 관찰학습_반두라

 

 

고전적 조건형성 _파블로프

 

▶파블로프' 개 실험 

  • ①조건자극(종소리) ~ ②무조건자극(먹이) ~ ③무조건반응(침흘리기)
  • ⇒ ②를 생략해도 ③무조건반응 발생

▶원리

  • 시간= ① 조건자극이 ②와 동시OR 조금앞서야
  • 강도=  ② 자극물 강도가 약해지면 안되
  • 일관성= ① 조건자극은 똑같게 
     

▶조건형성 과정☆☆

  • 지연 조건형성 ⇒ 위 ① ~ ② 시간 간격 아주 짧음 =  효과↑ 실현가능성↓
  • 흔적 조건형성 ⇒ 적당한 시간 간격 = 가장 널리 사용됨  
  • 동시〃 또는 후향〃 = 실현 불가능

▶조건형성 영향요인☆

  • 소거= 조건반응 형성후 일정 반복하면 효력상실
  • 자발적회복= 소거- 휴식- 일정정도 조건반응
  • 자극일반화= 조건반을 형성된 대상이 비슷한 조건에서도 반응 보임

 

 

조작적 조건형성 _스키너

 

  • 어떤 행동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상(강화 OR 처벌)함으로써,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 OR 감소 시킴

 

보기문제) 아이가 떼를 쓰고 나서 부모에게 혼나면 혼날수록, 그 아이는 떼를 점점 더 심하게 썼다. 이때 부모가 혼내는 것이 아이가 떼를 쓰는데 어떤 역할을 한 것인가? (답: 정적강화)

※문제 상황을 상상하거나  해석하려고 하지말것!!

문제 행동은 무엇인가? 떼 쓰는것 
떼쓰는 행동이 증가하였나? 그렇다 → 강화

강화물은 무엇인가? 혼내는 것
혼내는 것은 아이에게 주는 것인가? 뺏는 것인가? 주는것 → 정적

 

▶강화계획☆

  • 연속강화= 계속적, 기대반응 발생 때마다

  • 부분강화= 간헐적, 반응횟수·시간 고려 주기적 ― 소거 어렵다
    #고정간격(월급../ 지속성↓↓
    #변동간격(바겐세일../ 평균간격 지난후에)
    $고정비율(커피쿠폰../ 지속성↓ 반응율↑) 
    $변동비율(로또복권../ 지속성↑ 반응율↑↑)

 

▶차별강화☆
=같은상황 2행동, 강화를 차별적용― 식사시간, 야채(칭찬-더먹게), 콜라(소거,무시-덜먹게)

  • DRO(다른행동〃)= 문제행동 없이 ~시간 경과후 강화물 제공
  • DRI(상반행동〃)= 문제의 반대행동(동시에 발생될수 없는) 강화시킴
  • DRA(대체행동〃)= 문제행동과 기능 동일, 수용 가능한 대체행동 할 때마다 강화
  •  
  • DRL(낮은비율행동 〃)= 문제행동, 목표보다 낮은 비율로 낮을때마다 강화
  • DRH(높은비율행동 〃)= 행동비율 높이고 싶을때
  • DRO(무반응 〃)= 일정기간 문제행동 안할때

 

▶이중요인 학습이론 _모러
=오발 호바트 모러 , 1939, 미국, 행동치료 연구― 공포, 불안 발생의 두 단계

  • 반응형성= by 고전적 조건형성)
    반응유지·강화= by 조작적 조건형성, 혐오자극 회피때마다 부적강화 발생, 반응소거 기회없음

 

▶처벌의 효과적 사용방법

  • 문제행동시 즉각 처벌(행동과 처벌이 연합되도록)
  • 처음부터 강도높은 처벌 사용, 대안행동 있을때 더욱 효과적

 

▶동기 이론
= 행동시작(목표)의 내외적 요소

  • 추동감소= 신체 긴장상태 평형찾기(목 마를때 물찾기)
  • 유인= 유인가(돈,명예..)
  • 각성= 최적의 각성(활기) 수준 목표
  •  
  • 외재적= 강화 획득, 처벌 회피(성적향상 - 칭찬)
  • 내재적= 행위 자체가 강화(공부가 재밌다)
  • 과잉정당화= +외적 강화물의 투입으로 내적동기화 행동의 감소, 조작적 조건형성 한계점 

 

 

인지학습

 

▶통찰학습 _퀼러

  • 요소 간의 관계 파악= 갑자기(점진아님) 문제해결(심리치료- 자기이해)
  • 통찰과정= 문제직면 - 인지 불균형, 동기발생 - 문제 탐색 - 통찰 - 다른 상황까지 확대

 

▶잠재학습 _툴만

  • 학습 선행, 유인가 후행, 학습에는 정신(내적) 표상이 중요함

 

▶장(환경)이론 _레빈

  • 구성요소 분석만으로 부족 - 생활공간 (전체요인) 강조

 

 

 관찰학습 _반두라' 사회학습이론

 

  • 모델링
    = 직접 경험 외에 관찰 흉내, 단순모방 아님 - 사회학습(자신에게 유리한 행동 정보 학습)

  • 거울뉴런
    = 신경적 토대, 관찰= 행동하듯 느낌

  • 과정
    ①주의집중= 행동의 결과, 모델의 호감도 따라
    ②파지= 유지 기억, 언어 이미지- 인지적 시연
    ③재생= 운동, 신체성장 성숙 연습필요
    ④동기= 실현 동기, 욕구의 과정

 

 


 

[출처: 오분뚝딱철학]

 

'◆ 성격·심리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E. 인지심리학  (0) 2023.10.04
1D. 생리심리학  (0) 2023.10.02
1B. 성격심리학  (0) 2023.09.25
1A. 발달심리학  (0) 2023.09.24
1. 심리학개론  (0) 2023.09.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