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리학개론
~01 개요 ~~ 정의, 역사, 분야
~13. 분야 ~~ 발달심리학, 성격〃, 학습〃, 생리〃, 인지〃, 사회〃
~15. 심리학 연구 방법론
◆ 심리학' 정의 |
- 심리 == 心理, 마음의 작용과 의식의 상태
/마음 (인성人性) = 사고(방법찾기) + 태도(입장) + 행동(결과물)
/의식 (인지認識) = 지각(감각입력) + 기억(저장) + 사고(개념>추상>판단)
- 경험과학 = 사회적 논리와 수학적 모형으로 접근할수 없는 연구대상(=마음)을, 증거(=정신이상 증상)에 기반하여 귀납적으로 연구하는 과학.
- 삶처럼 마음에도 "왜?"(이유)가 없다. 다만 증상을 분류(DSM-5) 할 뿐이고, 치료 방향에 따라 분야가 나누어진다.
심리학은 사회적 필요에 따라 시작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노동 부적응 대상을 분류하여 집단 수용할 필요가 발생했고, 세계대전을 전후하여서는 지능검사(군인 보직편성)와 심리상담(제대군인 정신장애) 등에서 급속히 발전하였다.
◆ 심리학' 연혁 |
- 1879, 분트 Wundt, 심리학 최초 실험
- 1900, 프로이트 Freud, 정신분석학, "꿈의 해석" 출간
- 1902, 파블로프 Pavlov, 고전적 조건형성 실험
- 1913, 왓슨 Watson, 행동주의, 어린 알버트 실험
- 1923, 피아제 Piaget, "아동의 언어와 사고" 출간
- 1929, 퀼러 Köhler, 형태주의, 게슐탈트 접근, 행동주의 비판
- 1931, 스키너 Skinner,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 스키너의 상자
- 1951, 로저스 Rogers, "인간중심 치료" 출간
- 1960~, 기억 과정의 탐구(신경과학) ⇒ 인지 혁명의 시작
◆ 심리학' 분야 |
- 기초 심리학= 인간이해 이론 , 심리·행동 - 예측·통제 기법
생리심리학(대뇌기능, 신경계통, 내분비선) / 지각〃(감각, 지각 과정) / 인지〃(지각 확대 - 기억과 인출 등의 정보처리) / 발달〃(전생애 인간 발달과 변화) / 성격〃(개인차이) / 사회〃(환경적응 심리,행동) / 학습〃(생존 - 지식습득) - 응용 심리학=이론을 바탕으로 현장중심 연구, 인간의 심리와 행동의 통제에 초점
임상심리학(부적응 심리상태 원인규명, 진단과 치료) / 상담〃(경증장애 고충처리) / 응용사회〃(사회적 행동의 현상규명, 통제) / 산업및조직〃(효율성 제고, 생산성 향상) / 광고〃(소비자 구매동기 유발) / 교육〃(현장 효율, 평가 등)
마음(넋)은 신체와 독립된 형이상학적 실체가 아니다.
-70mA 차이의 전기신호이며, Ai 딥러닝의 모체이다.
유일무이 특별한 존재인 "나" .. 고작 이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