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 사회적 상황(공동체관계)에서 행동·심리 과정을 연구함, 1960~70연대 미국 인권운동
◇ 사회적지각= 인상, 귀인 / 사회적관계= 친밀, 편견 / 사회적추론= 인지, 태도, 영향
◆ 사회적 지각 |
▶a.. 인상형성
- 신속한 분별 ―생존위한 진화
- 인상정보 추론⇒ 개인 도식 ―고정관념, 내현성격이론( 남도 자기와 비슷하다고 판단)
- 인상정보 통합⇒ 추론확인, 좋으냐 아니냐로 마무리
- 인상형성 경향성 ⇒ 일관성, 긍정 편향, 부정성 효과(부정정보가 인상형성에 더큰영향)
- 인상형성 주요 효과☆
| 초두효과= 첫 정보가 큰 영향 ↔ 최신효과
| 맥락효과= 나중 정보에 영향미침
| 후광효과= 긍정 또는 부정인상을 일관되게 유지함
| 악마효과= 부정면 확대 ↔ 방사효과= 나도 높아져
| 대비효과= 자신과 비교 - 절하
| 빈발효과= 반복이 첫정보를 이김
| 낙인효과= 태인 약점, 선입관
| 현저성효과= 한가지만 떠오름
| 중요성절감효과= 나중 정보는 가벼게 취급
| 주의감소효과= 첫인상에 묻힌 정보 - 중심특성, 캘리' 연구☆
| 온정성(따뜻vs차갑)이 인상에 가장 큰 영향 - 가중평균모형, 앤더슨'
| 내가 좋아하는 특성에 가중치 부여
▶b.. 귀인이론★
- 귀인?? 사건의 결과에 원인을 찾는 과정
- 귀인 방향☆= 내적원인(내탓), 외적원인(환경, 운탓)
- 귀인 정보원 ―캘리' 공변원리, 논리적 귀인과정☆☆
| 귀인 3정보(자극대상, 행위자, 상황)의 공존하는 정도
| 공변모형(특이성, 일치성, 일관성) ⇒ 3정보가 모두 ↑이면 자극대상에 귀인 경향 / 3정보 ↓이면 행위자 귀인(일관성무시- 맥1972)
- 기본 귀인 오류
= 타인행동에 외부요인(상황)을 과소평가하고 내부요인(성격)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성 - 행위자(관찰자) 편향
= 타인은 내적요인, 자신은 외적요인(상황) 강조 ~~ 남 지각은 게으름 - 자기고양적(자기위주) 편향
= 자신에게 긍정, 호의적 평가
- 허구적 일치성효과
= 보편성 과대평가 ~~ 내가 탈락시, 탈락자가 많을것임 - 허구적 독특성효과
= 보편성 과소평가 ~~ 내가 합격시, 합격자는 적을것임
◆ 사회적 관계 |
▶a.. 친밀한 관계
- 근접성(물리적), 유사성(자신과 비슷), 상보성(자신과 정반대 성향)
- 신체적 매력, 친숙성(접촉빈도), 개인특성(성실, 온정, 능력..)
▶b.. 편견
- 사회적 학습(부모, 또래, 매체), 집단갈등(경쟁)
- 사회적 불평등(분배피해↔조장), 범주화(노인, 여자..)
◆ 사회적 추론 |
▶a.. 사회인지
- 근접성(물리적), 유사성(자신과 비슷), 상보성(자신과 정반대 성향)
- 신체적 매력, 친숙성(접촉빈도), 개인특성(성실, 온정, 능력..)
- 인지부조화이론☆☆
= 행동과 인지(태도)의 일관성을 회복하려는 태도
| 노력정당화= 노력한 일에 가치 더 부여함
| 페스팅거' 실험= 적은 보상에 적극적 거짓동조 - 암묵적 자기중심주의= 자기와 비습한 타인에게 호감
- 성명,글자 효과= 임름 머리글자가 행동에 영향(직업선택)
▶b.. 태도★
- 어떤 대상에 지닌 마음의 지향
- 행동 예측 가능= 심리학 핵심 연구주제
- 인지적요소(신념) / 정서 감정(호의) / 행동(의도)
▶c.. 사회적 영향★★
- 동조☆
= 집단의 행동 기준으로 조정함 / 정보이유(오류 줄이려고), 규범이유(타인 인정 받으려고)
| 동조실험_애쉬'1955⇒☆☆ 집단유대 감↑ 집단크기↓ 집단매력 ↑ 소리내 말하는 방식, 내가 낮은지위, 집단주의 문화 일수록 공개적 반응에서 다수의견에 호응함. - 응종☆
= 유발 작용 원리
| 문간에 발 들여놓기 기법= 점점 큰 요구 ~~ 서명하면, 후원요구
| 낮은공 기법= 싼가격, 점점 옵션 추가
| 문전박대 기법= 큰 빚보증 해주면, 합리적 이유로 적은돈 빌리기
| that's not all= 첫번째 반응이 오기전에, 덤 할인 제시 - 복종☆☆
= 밀그램' 1963실험(전기충격, 호소에도 계속)
| 권위자 존재여부, 물리적 거리(피해상황 멀리), 직접책임 면제시 등에 복종 높아짐 - 집단의 영향☆☆
| 사회적 촉진= 타인볼때 단순과제 수행증가
| 사외적 억제= 타인볼때 복잡과제 수행감소
| 사회적 보상= 타구성원 몫만큼 노력
| 사회적 태만= 개인수행 합보다 적어짐 ~~> 협력 억제, 책임감 분산
| 방관자 효과, 몰개성화(태만+촉진)
| 집단극화= 개인보다 집단의 결정이 극단화 경향보임(정치표현)
| 집단사고= 충분한 논의없이 합의(융화욕구>현실평가) / 증가요인⇒ 응집력, 성과빨리필요, 외부비난 직시, 고립구조집단
#남몰래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맵돌다가(그사람과 가까운 거리에서) 인사하기 / 따라하고(그사람이 좋아하는 노래, 영화? 연극?, 산? 바다? ..) 응원하기 / 도와주기(그사람의 현실적 어려움이나 그사람 자신이 단점 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의 상반된 모습을 내가 보여주기) / 깨끗하고 단정한 외모를 유지할것, 성실하고 인정스러운 면을 보여줄것..
이러다가 대화의 순간이 온다면.. 잘 들어주기(내가 하고싶은 말은 하지않기).. / 상대방이 꺼낸 소재에서 핵심어를 따라하고, 따른 표현으로 다시한번 그 내용을 부연하기 /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상대방의 의견이 옳다고 인정하는 뜻을 전달하는 것(비평이나 충고는 절대 안됨) / 그리고 잠깐의 침묵.. 상대방이 새로운 소재를 꺼낼것인지 이 얘기를 계속하고싶은지 관찰할것. ../ 이런 사람을 누가 좋아하지 않을까요 ㅎ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