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천간[天干] 이란??
2음양 × 5행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蓋有陰陽, 因生五行, 而五行之中,各有陰陽,
개유음양, 인생오행, 이오행지중,각유음양,
만물이 음양으로 있는 상태에서, 오행이 생겨났기 때문에,
오행의 가운데에는, 각각 음양이 있다,
『자평진전 論干支편』
■ 천간의 특성!!
양陽의 관점 ⇒ 기氣 → 정신, 형체없음, 계속 움직임, 빠르고 직접적인 생극 작용
음陰의 관점 ⇒ 질質 → 물질, 형체이룸, 단단함, 다양하고 비연속적인 생극 작용
천간은 기氣로서 운동하며, 삶의 지향점(욕망의 방향)으로 표현됨,
지지는 질質로서 운동하며, 욕망의 수단으로서 천간의 뿌리역활(욕망의 실현정도)을 함, 사건사고의 단발적 현상으로 나타남, 단 월지는 생극제화를 논할 수 있음,
天干專論 生克制化, 地支專取 刑沖破害,
천간전론 생극제화, 지지전취 형충파해,
천간은 오로지 "생극제화"로서 논하고,
지지는 오로지 "형충파해"에 의지하여 서술한다.
『삼명통회』
■ 천간의 생화生化 작용의 쓸모!!
- 설기洩氣 :::: 넘치는 기운을 들어내어 해소 → 흉凶(재앙과 근심) 함을 오히려 복爲福으로 바꿈
- 활기活氣 :::: 生받는 기운이 변화를 꾀함→ 억제制 받는 기운을 살려 오행의 순환적 활동을 만듬
위그림에서 "갑木" 오행을 보기로 부연하면..
사주팔자의 본원이 갑木이고, 형세가 木기운으로 넘친다면(木局)
木을 金으로 직접 다스릴수 없음이고,
반드시 火기운(특히 병火)을
찾아서(천간, 지장간, 운때, 운을 부르는 사람..)
써야 한다.
쓴다함은 일, 공부 등으로 재능을 발현하는 것,
火기운은 발현의 필요성을 가지게 하는 환경(사람, 사건..) 이다.
이때 土기운이 함께 한다면..
木의 강한 克을 받는 土기운이 비로소 활기를 찾을 것임,
土는 木에게 재성 이므로 안정적 재물을 축척 할수도..
단, 비겁 木기운이 너무 강하니,
土 재성은 사주에 있는것 보다 운으로 맞을때가 좋음.
이상의 보기 설명처럼
천간의 기운 해석은
생극제화 관점으로만 할수 있는것임.
■ 천간의 극제剋制 작용!!
의지활동 :::: 극제剋制 작용은 합合과 충沖의 활동으로 상대(사람,물건,기운)와 겨루어 통제하고 제어하여 내쪽으로 끌어들이려는 의지활동, 닫히고(合) 부딪쳐서(沖) 성과(통제)를 얻으려는 격함이 있음,
천간 合 :::: 양간 경우 자기가 극하는 음의 기운(정재)과 합 함, 음간 경우 자기를 극하는 양의 기운(정관)과 합 함,
합의 역활은 사주의 위치(宮位)에 따라 다르고, 합화合化 부합여부에 따라 다름. 이부분은 별도 포스팅 예정.
천간 沖 :::: 자기가 극하는 음양이 같은 기운(편관)과 충 또는 상극이 됨,
충은 土를 제외한.. 水(북,겨울)↔火(남,여름) 木(동,봄)↔金(서,가을) 의 계절과 방위의 충돌이다. 충沖의 뜻은 ‘비다, 공허하다, 찌르다’ 등인데.. 빈 만큼 채워야 할 공간이 있을 것이고, 여기에는 순기능과 역기능이 공존할 수 있음이다. 별도 포스팅 예정.
▣ 참고자료
'◆ 사주·명리學 > 생극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천간' 물상과 심리 (0) | 2023.01.22 |
---|---|
10천간' 합 충 (0) | 2023.01.22 |
적천수 천간론 원문독해 (0) | 2023.01.21 |
상생상극 (0) | 2023.01.21 |
오행' 생극제화 (0) | 2023.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