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주·명리學/십신육친

백호살

by 八眉 2023. 3. 30.
◆백호살(白虎殺)의 성립


60갑자 중에서 아래 7가지 경우이다.

임술(壬戌) 계축(癸丑) 무진(戊辰) 
병술(丙戌) 정축(丁丑) 갑진(甲辰) 을미(乙未)

같은 기둥(柱)의 "천간+지지" 이어야 한다.

 

◆백호살의 작용


白흰백 虎범호 
"호랑이에게 물려간다" 라는 옛말처럼
갑작스러운 사고, 흉사, 횡사, 요절, 자살 등으로 나타난다 한다.

백호살의 작용력이 큰 순서는..
일주(나), 시주(자식), 월주(부모), 년주(조상)

백호살은 사주명리學(자평)과는 상관이 없고
"기문둔갑의 구궁"에서 나온 것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기문둔갑
 https://www.google.com/search?q=기문둔갑+구궁도&tbm=isch 

◆백호살 일주


운세 글자에 직접 대입하는
일차원적 길흉 판단은 매우 위험하다.

백호대살(白虎大殺)이라 하여 
큰 재앙이 올것처럼 혹세무민 하는 것에 경계해야 합니다.

다만,

"일주"에 백호살이 있을 때는
신약하더라도 배짱, 고집, 감정기복..  
강점으로는 전문가적 능력, 집중력 등의
내적 기질이 있음은 참고해 둘만하다.



◇임술(壬戌)

일주 여기 중기 본기
임술(壬戌) () () ()
편관ㆍ대궁 정인ㆍ대좌 정재ㆍ양좌 편관ㆍ묘좌


「임술일주」는 백호살이 "관대"에 놓여..  부러지는 강성기질로 통솔력(배짱) 갖춘 리더 유형이다.  솔직 담백 호방한 성격이지만, 일처리가 어수선하여 갈피를 잡기 어렵다.


 

◇계축(癸丑)

일주 여기 중기 본기
계축(癸丑) () () ()
편관ㆍ대궁 비견ㆍ대좌 편인ㆍ양좌 편관ㆍ묘좌


「계축일주」는 집념의 화신이다. 참고 견디며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나 수단이 뛰어나다. 역시나 백호살이 관대에 놓여 감정의 기복을 다스리지 못하는 때에는 이기적인 면모를 들어내며 돌변할 수도 있음이다.



◇무진(戊辰) 

일주 여기 중기 본기
무진(戊辰) () () ()
건록ㆍ대궁 정관ㆍ대좌 정재ㆍ양좌 비견ㆍ대좌


「무진일주」는  호방하며 간섭과 참견을 배제하는 자유주의 성향이 강한 유형이다. 신격(身格)이 균형을 이룬 사주라면 귀격이 될 자질이 있다. 반면에 고집과 변덕으로 불안과 조울 증상을 쉽게 떨치지 못한다. 



◇병술(丙戌) 

일주 여기 중기 본기
병술(丙戌) () () ()
식신ㆍ묘궁 정재ㆍ대좌 겁재ㆍ양좌 식신ㆍ묘좌


「병술일주」는 명랑하고 낙천적이면서 충동적 기질이 강한 유형이다. 근면 성실함으로 일생 돈이 마르지 않을 팔자이다. 허나 감정기복으로 고독을 자처할수 있음이다. 



◇정축(丁丑) 

일주 여기 중기 본기
정축(丁丑) () () ()
식신ㆍ묘궁 편관ㆍ대좌 편재ㆍ양좌 식신ㆍ묘좌


「정축일주」는 근면함으로 불굴의 생활력을 갖추었으며 논리와 원칙을 중시하는 유형이다. 범이 소를 타고 있으니 욱하는 성격이 발동하면 사납고 독살스럽다. 



◇갑진(甲辰) 

일주 여기 중기 본기
갑진(甲辰) () () ()
편재ㆍ쇠궁 겁재ㆍ대좌 정인ㆍ양좌 편재ㆍ관좌


「갑진일주」는 기세등등한 청룡백호(靑龍白虎)처럼 물러섬이 없다. 호방하고 추진력이 좋지만, 강함에 강함(강기강성 剛氣强性)이 독선으로 치달으면 주변과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을미(乙未)

일주 여기 중기 본기
을미(乙未) () () ()
편재ㆍ양궁 식신ㆍ대좌 비견ㆍ양좌 편재ㆍ관좌


 「을미일주」는 합리적인 현실주의 유형이다. 관계의 중요성을 알고 봉사 희생을 마다하지 않지만,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삶의 굴곡짐을 막기 어렵다. 

 

 

 


[아부오름에서 멀리보는 다랑쉬]


[영상출처 : GeoTV]

'◆ 사주·명리學 > 십신육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강살  (0) 2023.04.08
십이운성 빨리찾기  (0) 2023.04.05
십이신살 특성  (0) 2023.03.28
십이성 당사주  (0) 2023.01.22
십신' 대표심리  (0) 2023.01.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