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살(白虎殺)의 성립
60갑자 중에서 아래 7가지 경우이다.
임술(壬戌) 계축(癸丑) 무진(戊辰)
병술(丙戌) 정축(丁丑) 갑진(甲辰) 을미(乙未)
같은 기둥(柱)의 "천간+지지" 이어야 한다.
◆백호살의 작용
白흰백 虎범호
"호랑이에게 물려간다" 라는 옛말처럼
갑작스러운 사고, 흉사, 횡사, 요절, 자살 등으로 나타난다 한다.
백호살의 작용력이 큰 순서는..
일주(나), 시주(자식), 월주(부모), 년주(조상)
백호살은 사주명리學(자평)과는 상관이 없고
"기문둔갑의 구궁"에서 나온 것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기문둔갑
https://www.google.com/search?q=기문둔갑+구궁도&tbm=isch
◆백호살 일주
운세 글자에 직접 대입하는
일차원적 길흉 판단은 매우 위험하다.
백호대살(白虎大殺)이라 하여
큰 재앙이 올것처럼 혹세무민 하는 것에 경계해야 합니다.
다만,
"일주"에 백호살이 있을 때는
신약하더라도 배짱, 고집, 감정기복..
강점으로는 전문가적 능력, 집중력 등의
내적 기질이 있음은 참고해 둘만하다.
◇임술(壬戌)
일주 | 여기 | 중기 | 본기 |
임술(壬戌) | 신(辛) | 정(丁) | 무(戊) |
편관ㆍ대궁 | 정인ㆍ대좌 | 정재ㆍ양좌 | 편관ㆍ묘좌 |
「임술일주」는 백호살이 "관대"에 놓여.. 부러지는 강성기질로 통솔력(배짱) 갖춘 리더 유형이다. 솔직 담백 호방한 성격이지만, 일처리가 어수선하여 갈피를 잡기 어렵다.
◇계축(癸丑)
일주 | 여기 | 중기 | 본기 |
계축(癸丑) | 계(癸) | 신(辛) | 기(己) |
편관ㆍ대궁 | 비견ㆍ대좌 | 편인ㆍ양좌 | 편관ㆍ묘좌 |
「계축일주」는 집념의 화신이다. 참고 견디며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나 수단이 뛰어나다. 역시나 백호살이 관대에 놓여 감정의 기복을 다스리지 못하는 때에는 이기적인 면모를 들어내며 돌변할 수도 있음이다.
◇무진(戊辰)
일주 | 여기 | 중기 | 본기 |
무진(戊辰) | 을(乙) | 계(癸) | 무(戊) |
건록ㆍ대궁 | 정관ㆍ대좌 | 정재ㆍ양좌 | 비견ㆍ대좌 |
「무진일주」는 호방하며 간섭과 참견을 배제하는 자유주의 성향이 강한 유형이다. 신격(身格)이 균형을 이룬 사주라면 귀격이 될 자질이 있다. 반면에 고집과 변덕으로 불안과 조울 증상을 쉽게 떨치지 못한다.
◇병술(丙戌)
일주 | 여기 | 중기 | 본기 |
병술(丙戌) | 신(辛) | 정(丁) | 무(戊) |
식신ㆍ묘궁 | 정재ㆍ대좌 | 겁재ㆍ양좌 | 식신ㆍ묘좌 |
「병술일주」는 명랑하고 낙천적이면서 충동적 기질이 강한 유형이다. 근면 성실함으로 일생 돈이 마르지 않을 팔자이다. 허나 감정기복으로 고독을 자처할수 있음이다.
◇정축(丁丑)
일주 | 여기 | 중기 | 본기 |
정축(丁丑) | 계(癸) | 신(辛) | 기(己) |
식신ㆍ묘궁 | 편관ㆍ대좌 | 편재ㆍ양좌 | 식신ㆍ묘좌 |
「정축일주」는 근면함으로 불굴의 생활력을 갖추었으며 논리와 원칙을 중시하는 유형이다. 범이 소를 타고 있으니 욱하는 성격이 발동하면 사납고 독살스럽다.
◇갑진(甲辰)
일주 | 여기 | 중기 | 본기 |
갑진(甲辰) | 을(乙) | 계(癸) | 무(戊) |
편재ㆍ쇠궁 | 겁재ㆍ대좌 | 정인ㆍ양좌 | 편재ㆍ관좌 |
「갑진일주」는 기세등등한 청룡백호(靑龍白虎)처럼 물러섬이 없다. 호방하고 추진력이 좋지만, 강함에 강함(강기강성 剛氣强性)이 독선으로 치달으면 주변과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을미(乙未)
일주 | 여기 | 중기 | 본기 |
을미(乙未) | 정(丁) | 을(乙) | 기(己) |
편재ㆍ양궁 | 식신ㆍ대좌 | 비견ㆍ양좌 | 편재ㆍ관좌 |
「을미일주」는 합리적인 현실주의 유형이다. 관계의 중요성을 알고 봉사 희생을 마다하지 않지만,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삶의 굴곡짐을 막기 어렵다.
[영상출처 : GeoTV]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