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성격·심리學

4B. 임상심리 치료

by 八眉 2024. 1. 2.

 

4-10. 심리이론

정신역동과 인본주의 심리치료

 

          문제행동 발생 ~~ 이론별 이해

>정신분석 = 불안, 방어기제 고착 , 무의식적 갈등, 억압된 감정

>대상관계 = 왜곡된 경험 내재화 ~ 부적응적 표상 형성 ~ 관계 부재, 상실.함입.분열..

>행동치료 = 잘못된 학습의 결과 ~ 자극과 반응의 부적응 연합

>인지치료 = 역기능적 인지도식, 자동적 사고, 인지 왜곡 오류

>REBT = 비합리적 신념 ~ 자신포함 비난, 당위성

>인간중심 = REAL SELF & ideal self 불일치

>게슈탈트 = 지금. 여기 에서의 참자기로 살지못함

>의미치료 = 의미에의 의지 좌설 상태 ~ 실존적 공허, 불안

>가족치료 = 미분화, 역기능적 의사소통, 모호 경직된 경계와 구조

 

          사회 부적응 행동의 원인

>정신역동 이론 = 프로이트정신분석 , 에릭슨심리사회 , 아를러개인심리 , 분석심리

>인본주의 이론 = 로저스현상학 , 매슬로우욕구

>인지.행동주의 이론 = 피아제인지발달 , 스키너행동주의 , 반두라사회학습

 

          정신역동 이론의 발전

Drive    (정신분석) = Freud와 추종, 무의식의 의식화 ~~>자아기능의 강화 돕기

Ego     (자아심리학) = A. Freud , Hartmann ~~ 방어기제 밝힘, 자아 자율기능 강조

Object  (대상관계) = Klein, Fairbairn, Wimnicott ~~ 새로운 대상관계 경험 유도

Self      (자기심리학) = Kohut ~~ 자기욕구, 변형적 내면화 과정

그외..   애착이론, 상호주관성

 

3요소간 갈등 ~~> 불안 (anxiety)

 

Ego               (자아,   현실원리, 정신구조 집행자)

superEgo        (초자아, 도덕적원리, 사회가치+도덕 내면화, 표상)

Id        (원초아, 쾌락원리, 본능욕구, 정신에너지-원천저장고)

 

          방어기제 정신역동, 자아심리학

>억압(repression)        = 원초욕구, 불쾌경험 ~무의식에 눌러둠

>부인(denial)              = 고통.현실 ~ 사고.감정 왜곡 ~ 인식 못하게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반대행동, 불안회피

>대치(displacement)     = 표출회피 ~안전한 것 ~대리충족

>합리화(ration.alization) = 정당화, 불안회피

>퇴행(regression)        = 미성숙 회귀 ~불안.책임 회피

>동일시(identic.fication) = 다른사람 특징 차용 상상, 부정감소

>지성화(intelle.ctualization) = 정서적 주제를 이성으로 추상화 시킴 ~ 불안회피

>승화(sublimation)       = .공격 욕구 ~ 사회적.건설적 행동으로 변환

 

        ★대상관계이론 정신역동

    관계욕구 = 생애 첫3년 엄마 ~> 자기표상(자기 특성.체험.외재화) + 대상표상(외부정보,자극 내재화) >>추동욕구

    개별화 = 대상 항상성(관계형성과 분리과정의 안정적 확립) 버텨주는 환경
대로운 대상관계 경험 ~~> 현실, 수용적 태도 (통찰, 자아기능 강화)

 

          자기 심리학 ~정신역동

    자기대상 (공감,반영~부모로부터 체험) ~~>거대자기 + 이상화된 부모상
~~>
건강한 야망,가치 ~~> 변형적 내면화

    단기 정신역동 심리치료

    20회기 이내 실용적인 목표, 치료자 능동성 필요

    TLDP = 순환적 부적응적 패턴 / STDP = 방어.저항 돌파, 전이 초점

 

          인본주의 심리치료

    현상학적 접근, ‘지금,여기에집중
본능X , 삶과 운명 중에서 선택 ~~>자율성, 책임
치료자 태도, 인간관, 치료적 관계 ~~ 치료적 매개물

    로저스인간중심 치료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태도, 공감, 진실성
~~>
자기 평가를 타인 것 보다 더신뢰

    펄스게슈탈트 치료
지금.여기 , 자각 알아차림 증신 / 역할극, 빈의자 기법 , 지각의 확자

    실존치료 (로로메이, 플랭크 의미치료, 여빈 얄롬)
삶의 의미 탐색 도움, 자기해결 책임감

 

4-11. 인지행동치료

1950, 행동치료, 조건형성 원리. 학습된 행동

1960, 인지치료, 인지오류 재구조화

1980, 인지행동치료, CT. REBT. CBT

1990, 3세대 인지행동 치료, 마음챙김 관계.태도.변화 DBT. ACT. MBCT

 

ž   이상행동원인 = 학습된 사고 패턴

ž   치료 = 부적은 행동(동반된 사고) 패턴을 직접적으로 수정 하는 것 ~~ 체계적 둔감법, 자기주장 훈련.. 행동연습, 모델링, 혐오치료와 처벌

 

          행동치료

의식대상X , 외현적 행동과 그것이 발생한 특수한 상황이 치료 대상임

 

    기능적 행동평가 : SORC 모델

Stimulus(자극)            = 행동유발 선행조건, 환경 자극 ~~광고..

Organismic(유기체)      = 생리적 반응, 정서, 인지 ~~배고픔..

Response(반응)           = 사람관여 외현행동 ~~다시 토함..

Consequence(결과)      = 행동결과 ~~죄책감 해소

 

    대표학자

파블로프(~1936, 고전적 조건형성) / 왓습(~1958, 알버트실험, 실험주체 오직 행동뿐) / 스키너(~1990, 조작적 조건형성) / 반두라(1925~, 사회적 학습이론, 대리학습) / 매켄바움(인지행동수정, 과정강조)

 

    치료자 역할

교육적, 내담자의 협력 / 환경(자극 노출 줄임) , 내적반응(이완학습) , 외현행동(대화기술)

 

    행동치료 임상적 적용

>점진적 이완훈련 = 1938, 제이콥, 근육긴장↓ 각성↓

>노출과 반응 방지 = 불안 점차 소멸 / 홍수법: 먼저 감염 <~강박. 광장공포

>체계적둔감화 = 1958,윌프, 위계적 조건화 ~ 점차적응,근육호흡이완 ~ 단계설정 ~ 쉬운것부터 상상

>혐오조건 형성과 처벌 = 문제 행동 유발 자극과 불쾌-전기충격.자극 짝짓는 것

>모델링 = 성공사례 관찰 학습

>토큰경제 = 보상, 조작적 조건화 원리

>바이오 피드백 = 생리적 반응 혈압.. 내담자에게

 

    ABC모델 ~행동에서 인지의 매개역할

>Antecedent event      선행사건

>Belif                      생각틀 ~해석.능동적 의미부여

>Consequences          결과(준비된 자동반응)

 

          인지-행동 치료

>인지적 기법 = 비합리 신념 논박, 인지적 과제, 내담자 언어변화 , 유머

>정서적 기법 = 합리적 정서 심상법, 수치심 공격연습, 정서적 통찰

>행동적 기법 = 모델링, 체계적 둔감화, 이완훈련, 행동과제 부여

 

        ★인지치료 , CT-Aaron Beck

    인지도식 = Schema , 자기와 세상을 이해하는 틀
/
역기능.. 부정적 사고방식 형성과정 ~> 핵심신념.. 어린시절 중요인물과의 상호작용 + 중간신념.. 삶에 대한 태도,규범,가정 ~~> 인지적 오류.. 사실왜곡, 지각 오류

    자동적 사고 = 현실 상황을 틀에 맞춰 왜곡시킴

    반응 = 정서, 행동, 생리적

    그외 인지치료
/MBCT
마음챙김.. 우울재발, 최근.명상
/DTR   
역기능적 사고기록지.. 일시,상황,감정,자동적사고,합리적반응,결과,1~10
/DBT   
변증법적 행동치료.. 마랴리네, 감정기복 극심, 충동행동 ~기술훈현
/ACT   
수용전념치료.. 스티븐, 심리유연성

 

        ★인지적 오류

Conginative errors , 현실과 주관적 해석의 불일치

 

>흑백논리       = dichotomons Thinking , 극단적 이분법

>과잉 일반화   = overgenerallization , 한두 고립사건 근거로 일반결론 ~ 관계없는 상황에 적용

>임의적 추론   = arbitrary reasoning , 사건 멋대로 추측하고 해석함

>선택적 추론   = selective abstraction , 사건 일부를 기초로 결론내림 ~ 전체 맥락 간과

>극대.극소화    = magnification monimization , 사건 의미 중요성을 지나치게..

>개인화          = personalization , 임의 사건 사실에 자신을 연결시켜서 해석함

 

          비합리적 신념 논박하기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내성법 할용 = 스스로 깨닫게 ~ 논리. 경험. 실용. 철학. 대안적 논박

>하향식 화살기법 = 자동식사고 반박, 되묻기 ~ 생각 의미 베일을 벗겨냄 ~ 명료화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엘리스’ REBT = 합리정서행동치료 ,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 정서.행동적 문제~ 포괄.적극적 지침, 철학.경험적 근거를 가지는 심리요법

>ABCDEF 모델 = A촉발사건 ~ B비합리적신념 ~ C부정적결과 ~ D논박하기 ~E새로운신념 ~ F새로운 감정.행동

 

4-12. 통합적 관점의 심리치료

통합적 접근 : intergrative

완전히 새로운 혼합형태 치료, 혼합기술 = 정신분석+ 인지+행동+인본주의+그외..

 

          범이론적 접근 ~프로차스카

변화 5단계 = 전숙고단계(변화거부, 방어적.타인비난) ~~> 숙고(양가감정, 할지말지)
~~>
준비(결심) ~~> 실행(노력) ~~> 유지(변화지속)

 

          BASIC ID 다중양식 치료 ~라자투스

>Behavior 행동 = 관찰.측정 가능 ~자가 통제 관련된

>Affect 정서    = 통제 힘든 감정 ~원인 무엇?

>Sensation 감각         = .부정 대상?

>Imagery 심상           = 자기상, 신체상 ~기억속에 나?

>Cognition 인지         = 가지, 신념 ~무엇? 영향력?

>Interpersonal 대인관계         = 상호작용 ~사교적인가? 중요인물 누구?

>Drugs/Biology 약물/생물학    = 건강문제 전역 ~습관..

 

 

        집단치료

          집단치료 과정

1.     초기 = 구조화 결정 , 집단원들 초기불안 탐색 , 치료에 기대 명료화 , 개인별 목표 설정

2.     과도기 = 깊은수준 진행에 대한 저항유발 ~> 저항 근원 탐색이 중요

3.     작업단계 = 핵심, 목표 수행. 해결방안 모색 ~생산적인 활동, 높은 집단 응집력

4.     종결단게 = 일상화 전략, 분리감정 다루기

 

          치료요인11 (Yalom , 1995)

1.     희망의 고취 = 치료동기 유발, 치료자 및 방법 신뢰

2.     보편성 = 혼자가 아님을 배움

3.     정보전달 = 상호 작용 방식

4.     이타심 = 타인에게 도움줌 ~자기 가치감, 효능감

5.     대인관계 학습 = 교정적 정서 체험

6.     사회화 기술발달 = 자기주장 표현, 갈등해결, 긍정인상 주기

7.     모방 = 행동 관찰 모방 ~위 사회화의 학습

8.     집단 응집력 = 소속감과 수용 자체가 치료적인 힘 발휘

9.     원가족의 교정적 반복 발달 = 가족 유사성 ~재경험

10.   정화 = 억눌린 감정.충동 표현 ~에너지 해방

11.   실존적 요인들 = 인간 불확실성 ~직면, 수용

 

          가족치료

>확인된 환자 표출문제 = 가족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병리적 패턴에 의한 부산물

>가족평가 = 가계도 ~ 관계 설명 도구

>가족 순환주기 모델, 7 = 본가떠남, 새가정, 자녀어린, 자녀청소년, 자녀출가, 중년, 노년
~>
가족기능회복

 

4-13. 임상심리 전문영역

인지심리학X 행동의학O

건강심리학, 신경.. , 법정및범죄.. , 지역사회.. , 아동.. ~~> 상담대상? 심리치료사 역할?

 

          건강심리학

>전염병X , 질환, 건강 관리에 영향주는 (건강증비유지, 병예방) 심리적 특성과 행동 양식을 연구

>자가검진 = 건강행동(흡연,폭식,운동부족..) , 만성질환(당뇨,소화장애,통증..)

>주요치료기법 = 명상, 이완+바이오피드백 , 최면. 인지행동 치료 / 인지적요인 = 건강신념, 내적통제

 

    생물,심리,사회 모델 / Engel ,1977

생물(유전, 스트레스 취약성, 나이, 성차) + 심리(성격,행동양식,대체기술,스트레스) + 사회(가족배경,인종,경제조건, 문화) ~~> 건강.질환 ~~> 메커니즘(구조.장치) 규명 ~~> 치료.예방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 Ingram & Luxton ,2005

>질환 발생요인 = 선천적요인 + 특정 취약성

>스트레스?? 능력부담, 위협예상 ~주관적 상태

>스트레스 평가(Lazarus ,1984) = (1) 스트레스사건 객관 판단 , (2) 대처 자원과 선택
~~>
사건 자체보다 어떻게 지각하고 반응(평가) 하는가?

 

    ★스트레스 대처

정서(부정감정 해소) + 문제중심(정보찾고) + 적극행동(해결모색)

 

>대처전략 (Berk ,2007

/규칙적인 운동 ~ 신체건강à정서강화 /이완기법 ~근육이완 /분노조절 통제 ~지연응답, 숫자세기 /사회적 지지 구하기 ~친구,가족,동료,조직적도움

 

>자기돌봄 (Self care , Skovholt & Lazrus

/상담과정에서 균형쥬지, 자아 욕구 돌봄 과정 /자신양육 과정 ~영양섭취, 휴식,친밀관계 형성

 

>자기위로 (Self soothing

/불쾌 정서 상황에서 ~자신 내적자원 적극 사용 /정서적 고통 상화에서 편안 상태 유지위해서 ~스스로 감정 달래시, 타인 위로 수용 태도

 

    심리 신경 면역학 (Irwin & vedhara ,2005

/행동이 면역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산업화, 의학발전 ~1970대 후반, 질환과 죽음 양상변화, 건강은 완전한 신체.정신.사회적웰빙

스트레스와 면역간 관계에 초점 ~~>대응체계 (회복탄성력과 용기, 이성적대응..)

 

          신경심리학

뇌의 기능(-정상)이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하는 응용과학

뇌의 처리 과정, 특정부분별 통제행동 무엇!

 

좌뇌 = 언어 /이성.논리 , 청각.언어

우뇌 = 이미지 /감정.직관 , 시각.공간인식

뇌량 = ~12 발달, 부정 경험에 특히 취약

 

    발달순서 ~12, 뇌 뒤쪽(연수)부터 앞쪽으로

생명 기능       = 소뇌, 후두엽(시각)

지각 ..            = 두정엽(공감각) 측두엽(청각)

판단 ..            = 전두엽(운동,집행)

 

    신경심리 검사항목

주의력, 언어능력(웨스턴 실어증) , 시공간 구성능력 , 기억력 , 집행기능(개념형성,추론,계획..)

 

          법정 범죄 심리학

융합학문(심리학+법학) , 법정 및 범죄현장
/
예방프로그램 ~폭력,괴롭힘.. /법정관련 ~증인평가,피해자,전문가증인 /범죄자 평가 ~위험성 /범죄자 치료 /연구 ~범죄행동,예측전략,효율적 치료기법

 

    지역사회 심리학 =사회적 관점에서 정신건강 문제에 개입

    생태학적 접근 = 브론펜브레너 ,1979  /환경의 힘과 역할강조 ~개인 vs 미시(가족,친구) vs 거시(정부,문화) /문제해결 자원파악 , 환경 적응과정 ~~ 행동패턴, 적응형태

    예방 = /1~해로운 환경제거 /2~조기확인 치료 /3~발생이루 지속기간 줄임

 

          아동 임상심리학

.유아 ~ 청소년(고딩) 대상

심리 평가.치료.예방과 조기개입 등의 심리학적 서비스와 관련된 연구

 

    주요과제         /발달 ~독특.복잡성을 만드는 주요변인 /환경 ~가족.부모 학교 등 /사회 ~차원에서의 에방과 조기개입

    특징     /언어 한계 ~매개놀이 /부모.가족 평가포함 개입

 

4-15. 임상심리학의 자문, 교육, 윤리

전문적인 의견 및 조언 제공 5단계

1.     질문의 이해 ~ 요청자의 호소, 목적

2.     평가 ~ 진단. 목표 설정 , 윤곽잡기

3.     중재 ~ 제안을 실행 , 중간 성과 평가

4.     종결 ~ 목적 종결 또는 불가 합의

5.     추적 ~ 주기적, 실제 적용 과정

 

          자문의 유형

>사례자문 = 내담자 중심 ~특정 환자 치료, 보호 / 피자문자 중심 ~피자문자의 역향 향상

>운영자문 = 프로그램 중심 ~실무.연구 프로그램 관리, 구성.기능 / 피자문자.. ~해당기관운영기술지도

>비공식적 동료 집단 자문 = 자시느이 임상 사례에 대해..

 

          자문의 모델

>정신건강 .. = 요청자의 문제해결 능력 있다고 가정 ~ 필요 전문조언 정도만 제공

>조직.. = 조직 인간관계 상호작용 현상에 관심

>조직옹호.. = 요청조직(부모&환자)과의 동반자 관계 개발 ~~> 적합한 치료과정과 찾기가 목표 (대중매체 활용, 법률지식)

>과정.. = 환자와의 협력관계 강조 (조직 상호작용 보완)

>행동주의.. = 학습이론 바탕(가르치고, 조직에 보여주는 것) , 환자 부적응 행동 빈도감소가 목료

 

          임상심리학자의 윤리 원칙

유능성 = 역량있는 업무만, 자시느이 기술 한계에 자각

성실성 = 정식, 공정, 내담자와 이중관계 안됨

전문적 과학적 책임

인간 권리와 존엄에 대한 존중 ~비밀보장(한계있음,설명필요)

타인의 복지에 대한 관심

사회적 책임 ~공익

 

 

 

 

'◆ 성격·심리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심리_실무1 …「심리상담」  (0) 2024.02.29
5. 심리상담  (0) 2024.01.07
4A. 임상심리 검사와 평가  (0) 2024.01.01
4. 임상심리학  (0) 2023.12.30
3B. 인성검사  (0) 2023.12.29

댓글